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기(史記)/사기본기(史記本紀)3

[사기본기(史記本紀) 2 하본기(夏本紀) 2/2] 우임금의 정치와 하나라를 망친 걸왕 18 令天子之國以外五百里甸服: 百里賦納總, 二百里納銍, 三百里納秸服, 四百里粟, 五百里米. 甸服外五百里侯服: 百里采, 二百里任國, 三百里諸侯. 侯服外五百里綏服: 三百里揆文教, 二百里奮武衛. 綏服外五百里要服: 三百里夷, 二百里蔡. 要服外五百里荒服: 三百里蠻, 二百里流. 18 천자의 나라(天子之國) 바깥 500리를(外五百里) 전복으로 하도록 명령하고(令以甸服): 100리는(百里) 볏단으로 세금을 내고(賦納總), 200리는 벼 이삭으로(二百里納銍), 300리는 낟알로(三百里納秸服), 400리는 찧지 않은 쌀로(四百里粟), 500리는 쌀로 내도록 했다(五百里米). 전복(甸服) 바깥 500리는(外五百里) 후복으로 하고(侯服): 100리는 채읍으로(百里采), 200리는 천자를 받드는 나라로(二百里任國), 300리.. 2025. 4. 19.
[사기본기(史記本紀) 2 하본기(夏本紀) 1/2] 하나라의 역사: 九州禹跡(구주우적) : 우임금이 구주를 개척하며 길을 뚫고 물을 다스리다 1 夏禹, 名曰文命. 禹之父曰鯀, 鯀之父曰帝顓頊, 顓頊之父曰昌意, 昌意之父曰黃帝. 禹者, 黃帝之玄孫而帝顓頊之孫也. 禹之曾大父昌意及父鯀皆不得在帝位, 爲人臣. 1 하우는(夏禹), 이름이(名) 문명이다(曰文命). 우의 아버지는(禹之父) 곤이고(曰鯀), 곤의 아버지는(鯀之父) 제전욱이고(曰帝顓頊), 전욱의 아버지는(顓頊之父) 창의이고(曰昌意), 창의의 아버지는(昌意之父) 황제다(曰黃帝). 우는(禹者), 황제의 현손이고(黃帝之玄孫而) 제전욱의 손자다(帝顓頊之孫也). 우의 증조부 창의와(禹之曾大父昌意及) 아버지 곤은(父鯀) 모두(皆) 제위에 있지 않았고(不得在帝位), 남의 신하가 되었다(爲人臣). 2 當帝堯之時, 鴻水滔天, 浩浩懷山襄陵, 下民其憂. 堯求能治水者, 群臣四嶽皆曰鯀可. 堯曰: "鯀爲人負命毀族, 不可.".. 2025. 4. 16.
[사기본기(史記本紀) 1 오제본기(五帝本紀)] 황제헌원(黃帝軒轅)·전욱고양(顓頊高陽)·제곡고신(帝嚳高辛)·제요방훈(帝堯放勳:陶唐氏)·제순중화(帝舜重華:有虞氏) 황제헌원(黃帝軒轅)1 黃帝者, 少典之子, 姓公孫, 名曰軒轅. 生而神靈, 弱而能言, 幼而徇齊, 長而敦敏, 成而聰明. 1 황제는(黃帝者), 소전의 아들로(少典之子), 성은 공손이고(姓公孫), 이름은 헌원이다(名曰軒轅). 태어나면서(生而) 신령스러웠고(神靈), 갓난아기일 때(弱而) 말을 잘했고(能言), 어려서(幼而) 총명하고 기민했으며(徇齊), 자라면서 돈후하고 근면했고(長而敦敏), 다 커서는 총명했다(成而聰明).   * 徇齊(순제) : 총명하고 기민하다. * 敦敏(돈민) : 돈후하고 근면하다.  2 軒轅之時, 神農氏世衰. 諸侯相侵伐, 暴虐百姓, 而神農氏弗能征. 於是軒轅乃習用干戈, 以征不享, 諸侯咸來賓從. 而蚩尤最爲暴, 莫能伐. 炎帝欲侵陵諸侯, 諸侯咸歸軒轅. 軒轅乃修德振兵, 治五氣, 藝五種, 撫萬民, 度四方,.. 2025. 4.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