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어(國語)14

[국어(國語) 주어 상(周語 上) 14] 내사 흥이 진문공이 패자가 될 것이라고 말하다 / 진문공필패(晉文公必霸) 襄王使太宰文公及內史興賜晉文公命, 上卿逆于境, 晉侯郊勞, 館諸宗廟, 饋九牢, 設庭燎. 及期命于武宮, 設桑主, 布几筵, 太宰蒞之, 晉侯端委以入. 太宰以王命命冕服, 內史贊之, 三命而後即冕服. 旣畢, 賓·饗·贈·餞如公命侯伯之禮, 而加之以宴好. 內史興歸, 以告王曰: "晉, 不可不善也. 其君必霸, 逆王命敬, 奉禮義成. 敬王命, 順之道也; 成禮義, 德之則也. 則德以導諸侯, 諸侯必歸之. 且禮所以觀忠·信·仁·義也, 忠所以分也, 仁所以行也, 信所以守也, 義所以節也. 忠分則均, 仁行則報, 信守則固, 義節則度. 分均無怨, 行報無匱, 守固不偷, 節度不攜. 若民不怨而財不匱, 令不偷而動不攜, 其何事不濟! 中能應外, 忠也; 施三服義, 仁也; 守節不淫, 信也, 行禮不疚, 義也. 臣入晉境, 四者不失, 臣故曰: '晉侯其能禮矣, 王其善之!.. 2024. 4. 14.
[국어(國語) 주어 상(周語 上) 13] 진 혜공은 반드시 후사가 없을 것이다 / 내사과론진혜공필무후(內史過論晉惠公必無後) 襄王使邵公過及內史過賜晉惠公命, 呂甥·郤芮相晉侯不敬, 晉侯執玉卑, 拜不稽首. 內史過歸, 以告王曰: "晉不亡, 其君必無後. 且呂·郤將不免." 王曰: "何故?" 對曰: "《夏書》有之曰: '衆非元後, 何戴? 後非衆, 無與守邦.' 在《湯誓》曰: '余一人有罪, 無以萬夫; 萬夫有罪, 在余一人.' 在《盤庚》曰: '國之臧, 則惟女衆. 國之不臧, 則惟余一人, 是有逸罰.' 如是則長衆使民, 不可不慎也. 民之所急在大事, 先王知大事之必以衆濟也, 是故祓除其心, 以和惠民. 考中度衷以蒞之, 昭明物則以訓之, 制義庶孚以行之. 祓除其心, 精也; 考中度衷, 忠也; 昭明物則, 禮也; 制義庶孚, 信也. 然則長衆使民之道, 非精不和, 非忠不立, 非禮不順, 非信不行. 今晉侯即位而背外內之賂, 虐其處者, 棄其信也; 不敬王命, 棄其禮也; 施其所惡, 棄其忠.. 2024. 4. 13.
[국어(國語) 주어 상(周語 上) 12] 內史過가 神에 대해서 논하다 / 내사과논신(內史過論神) 十五年, 有神降于莘, 王問于內史過曰: “是何故? 固有之乎?” 對曰: “有之. 國之將興, 其君齊明․衷正․精絜․惠和, 其德足以昭其馨香, 其惠足以同其民人. 神饗而民聽, 民神無怨, 故明神降之, 觀其政德而均布福焉. 國之將亡, 其君貪冒․辟邪․淫佚․荒怠․麤穢․暴虐 ; 其政腥臊, 馨香不登 ; 其刑矯誣, 百姓攜貳. 明神不蠲而民有遠志, 民神怨痛, 無所依懷, 故神亦往焉, 觀其苛慝而降之禍. 是以或見神以興, 亦或以亡. 昔夏之興也, 融降于崇山 ; 其亡也, 回祿信于聆隧. 商之興也, 檮杌次于丕山 ; 其亡也, 夷羊在牧. 周之興也, 鸑鷟鳴于岐山 ; 其衰也, 杜伯射王于鄗. 是皆明神之志者也.” 15년에(十五年), 신 땅에 신이 내려온 일이 있어(有神降于莘), 왕이(王) 내사 과에게 물어 말하길(問于內史過曰): “이것은 무슨 까닭인가(是何故.. 2024. 4. 13.
[국어(國語) 주어 상(周語 上) 11] 정 려공이 괵숙과 함께 자퇴를 죽이고 혜공을 세우다 / 정려공여괵숙살자퇴납혜왕(鄭厲公與虢叔殺子穨納惠王) 惠王三年, 邊伯․石速․蔿國出王而立子頹. 王處于鄭三年. 王子頹飮三大夫酒, 子國爲客, 樂及偏儛. 鄭厲公見虢叔, 曰: “吾聞之, 司寇行戮, 君爲之不擧, 而况敢樂禍乎! 今吾聞子頹歌舞不息, 樂禍也. 夫出王而代其位, 禍孰大焉! 臨禍忘憂, 是謂樂禍, 禍必及之. 盍納王乎?” 虢叔許諾. 鄭伯將王自圉門入, 虢叔自北門入, 殺子頹及三大夫. 王乃入也. 혜왕 3년(惠王三年), 변백, 석속, 위국이(邊伯․石速․蔿國) 왕을 쫓아내고(出王而) 자퇴를 왕으로 세웠다(立子頹). 왕은(王) 정나라에 3년 동안 머물렀다(處于鄭三年). 왕인 자퇴가(王子頹) 세 대부와 술을 마실 때(飮三大夫酒), 자국이 손님이 되어(子國爲客), 음악과(樂及) 상고시대의 무곡을 연주했다(偏儛). 정 려공이(鄭厲公) 괵숙을 만나 말하길(見虢叔, 曰): “내가 들으.. 2024. 4. 12.
[국어(國語) 주어 상(周語 上) 10] 백양보가 서주가 망할 것이라고 예언하다 / 서주삼천개진백양보논주장망(西周三川皆震伯陽父論周將亡) 幽王二年, 西周三川皆震. 伯陽父曰: “周將亡矣! 夫天地之氣, 不失其序; 若過其序, 民亂之也. 陽伏而不能出, 陰迫而不能烝, 於是有地震. 今三川實震, 是陽失其所而鎭陰也, 陽失而在陰, 川源必塞; 源塞, 國必亡. 夫水土演而民用也. 水土無所演, 民乏財用, 不亡何待? 昔伊․洛竭而夏亡, 河竭而商亡. 今周德若二代之季矣, 其川源又塞, 塞必竭. 夫國必依山川, 山崩川竭, 亡之征也. 川竭, 山必崩. 若國亡, 不過十年, 數之紀也. 夫天之所棄, 不過其紀.” 是歲也, 三川竭, 岐山崩. 十一年, 幽王乃滅, 周乃東遷. 유왕 2년에(幽王二年), 서주의 3개 하천이(西周三川) 모두 지진이 일어났다(皆震). 백양보가 말하길(伯陽父曰): “주나라가(周) 장차 망할 것이다(將亡矣)! 무릇(夫) 천지의 기운은(天地之氣), 그 순서를 잃지 않고(.. 2024. 4. 10.
[국어(國語) 주어상(周語上) 9] 중국 최초의 인구조사 / 중산보간선왕료민(仲山父諫宣王料民) 宣王旣喪南國之師, 乃料民于太原. 仲山父諫曰: “民不可料也! 夫古者不料民而知其少多, 司民協孤終, 司商協民姓, 司徒協旅, 司寇協姦, 牧協職, 工協革, 場協入, 廩協出, 是則少多․死生․出入․往來者, 皆可知也. 於是乎又審之以事, 王治農于籍, 蒐于農隙, 耨獲亦于籍, 獮於旣烝, 狩于畢時, 是皆習民數者也, 又何料焉? 不謂其少而大料之, 是示少而惡事也. 臨政示少, 諸侯避之 ; 治民惡事, 無以賦令. 且無故而料民, 天之所惡也, 害于政而妨于后嗣.” 王卒料之, 及幽王乃廢滅. 선왕이(宣王) 이미(旣) 남쪽 나라의 군대를 잃고(喪南國之師), 이에(乃) 태원에서(于太原) 백성의 수를 조사하려고 했다(料民). 중산보가 간하여 말하길(仲山父諫曰): “백성을 헤아릴 수 없습니다(民不可料也)! 무릇(夫) 옛날에(古者) 백성을 헤아리지 않더.. 2024. 4. 10.
[국어(國語) 주어상(周語上) 8] 목중이 노후에 대해서 이야기하다 / 목중논노후(穆仲論魯侯) 三十二年春, 宣王伐魯, 立孝公, 諸侯從是而不睦. 宣王欲得國子之能導訓諸侯者, 樊穆仲曰: “魯侯孝.” 王曰: “何以知之?” 對曰: “肅恭明神, 而敬事耈老 ; 賦事行刑, 必問于遺訓而咨于故實 ; 不干所問, 不犯所咨.” 王曰: “然則能訓治其民矣.” 乃命魯孝公于夷宮. 32년 봄에(三十二年春), 선왕이 노나라를 쳐서(宣王伐魯), 효공을 세우고(立孝公), 제후들이(諸侯) 이로부터(從是而) 화목하게 지내지 않았다(不睦). 선왕이(宣王) 국자로서(國子之) 제후를 지도해서 가르칠 수 있는 사람을(能導訓諸侯者) 뽑으려 하자(欲得), 번목중이 말하길(樊穆仲曰): “노후 효가 있습니다(魯侯孝).”라고 했다. 왕이 말하길(王曰): “무엇으로(何以) 알 수 있는가(知之)?”라고 했다. 대답하여 말하길(對曰): “엄숙하고 공손하며 밝.. 2024. 4. 10.
[국어(國語) 주어상(周語上) 7] 주선왕이 노나라 내정에 간섭하다 주선왕(周宣王)이 적장자 승계제도를 무시하자 제후(諸侯)가 왕명을 따르지 않고, 노(魯) 나라에 내란이 일어났다. 선왕 12년(기원전 817년) 봄 노 무공이 큰 아들 희괄 대신 작은 아들 희획(姬劃)과 함께 입조했다. 희획이 마음에 든 주선왕은 희를 노나라 태자로 책봉해 버렸다. 그가 바로 노 의공이다. 선왕 22년(기원전 807년), 희괄의 아들 백어가 노나라의 국인들과 함께 노 의공을 죽였다. 분노한 선왕이 노나라를 쳐서 백어를 죽이고 노 의공의 아우를 노후로 올리니 그가 바로 노 효공이다( 기원전 796년). 魯武公以括與戱見王, 王立戱, 樊仲山父諫曰: "不可立也! 不順必犯, 犯王命必誅, 故出令不可不順也. 令之不行, 政之不立, 行而不順, 民將棄上. 夫下事上, 少事長, 所以爲順也. 노 무공이(魯武公).. 2023. 12. 17.
[국어(國語) 주어상(周語上) 6] 주선왕이 천무의 땅을 놀리다 [부적천무(不藉千畝)] 폭군으로 악명을 떨친 려왕의 뒤를 이은 선왕의 노력으로 주나라는 잠시 사정이 좋아졌다. 사기(史記)에 의하면 기원전 841년 국인(國人)의 폭동으로 려왕이 유배당하고 주정공(周定公)과 소목공(召穆公)이 함께 정무(政務)를 관리한 때를 공화시기라고 한다. 그런데 죽서기년(竹書紀年)에 의하면 공백 화가 국인들의 폭동을 주도하여 려왕을 쫓아내고 천자를 대행하게 되어 그의 이름에서 공화시기가 유래했다고 한다. 이때부터 주나라 역사에서 일어난 사건의 연도가 분명해지기 시작한다. 虢文公諫宣王不藉千畝 범문공이(虢文公) 선왕에게(宣王) 천무의 밭을 경작하지 않는다고(不藉千畝) 간했다(諫). 宣王卽位, 不籍千畝. 虢文公諫曰: "不可! 夫民之大事在農, 上帝之粢盛於是乎出, 民之蕃庶於是乎生, 事之供給於是乎在, 和協輯睦於是乎興.. 2023. 12. 16.
[국어(國語) 주어상(周語上) 5] 소공이 선왕 대신 아들을 죽게 하다 려왕의 실정으로 백성들이 폭돌을 일으키자 태자인 선왕이 소공의 집에 숨어 있었다. 이 사실을 안 백성들이 태자를 내놓으라고 윽박질렀다. 소공은 자기 아들을 태자라고 속여 내어 주고 그 틈에 태자가 도망칠 수 있도록 도왔다. 선왕은 공화 시기 14년을 거쳐 체 땅에서 려왕이 죽자 제후의 추대로 왕위에 올랐다. 召公以其子代宣王死(소공이기자대선왕사) 소공은(召公) 자기 아들이(以其子) 선왕을 대신해서(代宣王) 죽도록 했다(死). 彘之亂, 宣王在邵公之宮, 國人圍之, 邵公曰: "昔吾驟諫王, 王不從, 是以及此難. 今殺王子, 王其以我為懟而怒乎! 夫事君者險而不懟, 怨而不怒, 況事王乎?" 乃以其子代宣王, 宣王長而立之. 체의 난리 속에(彘之亂), 선왕이(宣王) 소공의 집에 있었는데(在邵公之宮), 나라 사람들이(國人) 포위.. 2023. 1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