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故事成語)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4] 지어지앙(池魚之殃) / 상관 없는 엉뚱한 사람이 피해를 입는다

by प्रज्ञा 2024. 11. 2.
반응형

본래 뜻은 ‘재앙(災殃)이 못의 물고기에 미친다.’는 뜻으로 여씨춘추 필기편(呂氏春秋 必己篇)에 등장하는 고사성어다. 아무 상관없는 제삼자(第三者)가 엉뚱하게 재난(災難)을 당하는 것을 말한다.  

춘추 시대 송(宋)나라에 사마(司馬:大臣) 벼슬에 있는 환퇴(桓魋)가 진귀한 보석을 가지고 있었다. 죄를 지어 처벌을 받게 되자 보석을 가지고 도망쳤는데, 보석이 탐이 난 왕이 사람을 시켜 보석을 감춰 둔 장소를 알아보도록 했다. 
환퇴는 보석을 연못에 던져버렸다고 말했다. 이에 보석을 찾으려고 연못의 물을 퍼 없앴지만 보석은 찾지 못하고 결국 애꿎은 물고기들만 다 말라죽고 말았다.  

 

유의어: 앙급지어(殃及池魚), 횡래지액(橫來之厄), 횡액(橫厄)

 

宋桓司馬有寶珠, 抵罪出亡. 王使人問珠之所在, 曰: “投之池中.” 於是竭池而求之, 無得, 魚死焉. 此言禍福之相及也. 『여씨춘추(呂氏春秋)』 「효행람(孝行覽)」

송나라(宋) 사마환퇴에게(桓司馬) 보배로운 구슬이 있었는데(有寶珠), 죄를 짓고(抵罪) 도망갔다(出亡).

왕이(王) 사람을 시켜(使人) 구슬이 있는 곳을(珠之所在) 묻자(問), 말하길(曰): “연못 가운데(池中) 던졌다(投之).”라고 했다.

이에(於是) 연못을 말려서(竭池而) 찾았지만(求之), 얻지 못하고(無得), 물고기가 연못에서 죽었다(魚死焉). 이것은(此) 화와 복이(禍福之) 서로 미치는 것을(相及) 말한다(也).

 

* 抵罪(저죄): 죄의 경중에 따라 알맞게 형벌()을 받아 때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