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世皆稱孟嘗君, 能得士, 士以故歸之, 而卒賴其力, 以脫於虎豹之秦. 嗟乎! 孟嘗君特鷄鳴狗吠之雄耳, 豈足以言得士.
세상 사람들이 모두(世皆) 맹상군이(孟嘗君), 선비를 잘 얻고(能得士), 선비가(士) 이 때문에(以故) 그에게 모여들었고(歸之, 而) 마침내(卒) 그 힘에 의지해서(賴其力, 以) 범과 표범 같은 진나라에서(於虎豹之秦) 탈출했다고(脫) 칭찬한다(稱). 아아(嗟乎)! 맹상군은(孟嘗君) 다만(特) 닭이 울고 개가 짖는 정도의(鷄鳴狗吠之) 영웅일 뿐이니(雄耳), 어찌(豈) 선비를 얻었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足以言得士).
* 鷄鳴狗吠(계명구폐): ‘닭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인가(人家)가 잇대어 있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不然擅齊之强, 得一士焉, 宜可以南面而制秦, 尙取鷄鳴狗吠之力哉. 鷄鳴狗吠之出其門, 此士之所以不至也.
그렇지 않았다면(不然) 제나라의 부강함을 마음대로 해서(擅齊之强), 선비 하나라도 얻어(得一士焉), 마땅히(宜) 남면하고(可以南面而) 진나라를 제압했을 것이니(制秦), 오히려(尙) 계명구폐의 힘을 취했겠는가(取鷄鳴狗吠之力哉). 계명구폐의 무리가(鷄鳴狗吠之) 그 문하에서 나왔으니(出其門), 이것은(此) 선비가(士之) 이르지 않은 까닭이다(所以不至也).
반응형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75] 구양수(歐陽修) 상주주금당기(相州晝錦堂記) (0) | 2025.02.15 |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74] 구양수(歐陽脩) 상범사간서(上范司諫書) (0) | 2025.02.12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72] 사마광(司馬光) 독락원기(獨樂園記) (0) | 2025.02.11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71] 사마광(司馬光) 간원제명기(諫院題名記): 간관의 이름을 돌에 새기며 (0) | 2025.02.11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70] 석개(石介) 격사홀명(擊蛇笏銘): 요사스러운 뱀을 죽인 홀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