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極而太極, 太極動而生陽, 動極而靜, 靜而生陰, 靜極復動. 一動一靜, 互爲其根, 分陰分陽, 兩儀立焉, 陽變陰合, 而生水火木金土, 五氣順布, 四時行焉. 五行一陰陽也, 陰陽一太極也, 太極, 本無極也. 五行之生也, 各一其性, 無極之眞, 二五之精, 妙合而凝, 乾道成男, 坤道成女, 二氣交感, 化生萬物, 萬物生生而變化無窮焉.
무극은 태극이고(無極而太極), 태극이 움직이면(太極動而) 양을 만들고(生陽), 움직임이 지극하면(動極而) 고요해지고(靜), 고요해지면(靜而) 음을 만들며(生陰), 고요함이 지극하면(靜極) 다시 움직인다(復動). 한 번 움직이고(一動) 한 번 고요해서(一靜), 서로(互) 그 뿌리가 되고(爲其根), 음으로 나위고(分陰) 양으로 나뉘어(分陽), 양의가 서니(兩儀立焉), 양이 변하고(陽變) 음을 합쳐서(陰合, 而) 화수목금토를 만들고(生水火木金土), 오기가(五氣) 순조롭게 퍼져(順布), 사시가 운행한다(四時行焉). 오행은(五行) 하나의 음양이고(一陰陽也), 음양은(陰陽) 하나의 태극이고(一太極也), 태극은(太極), 본래 무극이다(本無極也). 오행이(五行之) 생기는 것은(生也), 각자(各) 그 성품을 하나로 가지고(一其性), 무극의 본래와(無極之眞), 음양오행의 정기가(二五之精), 묘하게 합쳐져서(妙合而) 엉기니(凝), 건도가(乾道) 남자를 이루고(成男), 곤도가 여자를 이루어(坤道成女), 두 기운이(二氣) 서로 느껴서(交感), 만물을 만들고(化生萬物), 만물이(萬物) 생기고 생겨서(生生而) 변화가 무궁하다(變化無窮焉).
惟人也得其秀而最靈, 形旣生矣, 神發知矣. 五性感動, 而善惡分, 萬事出矣. 聖人定之以中正仁義而主靜, 立人極焉, 故聖人與天地合其德, 日月合其明, 四時合其序, 鬼神合其吉凶, 君子修之吉, 小人悖之凶.
오직(惟) 사람이(人也) 그 뛰어남을 얻어서(得其秀而) 가장 신령스럽고(最靈), 형체가(形) 생기고 나서(旣生矣), 신이(神) 앎을 드러낸다(發知矣). 오성이(五性) 느끼고 움직여(感動, 而) 선악이 나뉘고(善惡分), 만사가 나온다(萬事出矣). 성인이(聖人) 중정과 인의로(以中正仁義) 그것을 안정시켜(定之而) 고요함을 주로 하고(主靜), 사람의 법도를 세웠고(立人極焉), 그러므로(故) 성인과 천지가(聖人與天地) 그 덕을 맞추고(合其德), 일월이(日月) 그 밝음을 맞추고(合其明), 사시가(四時) 그 순서를 맞추고(合其序), 귀신이(鬼神) 그 길흉을 맞추고(合其吉凶), 군자가 이것을 닦아서(君子修之) 길하고(吉), 소인이 이것을 거슬러(小人悖之) 흉하게 된다(凶).
故曰: “立天之道曰, 陰與陽, 立地之道曰, 柔與剛, 立人之道曰, 仁與義.” 又曰: “原始反終. 故知死生之說.” 大哉. 『易』也! 斯其至矣.
그러므로 말하길(故曰): “하늘을 서게 하는 도는(立天之道) 음과 양이라고 하고(曰, 陰與陽), 땅을 서게 하는 도는(立地之道) 유와 강이라 하고(曰, 柔與剛), 사람을 서게 하는 도는(立人之道) 인의라 한다(曰, 仁與義).”라고 했다.
또 말하길(又曰): “시작을 찾아서(原始) 끝으로 돌아온다(反終). 그러므로(故) 사생의 설을 안다(知死生之說).”라고 했다. 위대하구나(大哉). 역이여(『易』也)! 이것이(斯) 그 지극함이다(其至矣).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125] 장재(張載) 서명(西銘): 서쪽 창에 붙인 좌우명 (0) | 2025.04.04 |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124] 정이(程頤) 사물잠(四勿箴): 네 가지 일에 대한 경계 (0) | 2025.04.04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122] 주돈이(周敦頤) 애련설(愛蓮說): 연꽃을 사랑한 이야기 (0) | 2025.04.04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121] 이격비(李格非) 서낙양명원기후(書洛陽名園記後)] 낙양명원기에 붙여 적음 (0) | 2025.04.02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120] 당경(唐庚) 상석시랑서(上席侍郞書): 석시랑께 올리는 편지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