乾稱父, 坤稱母, 予玆藐焉, 乃混然中處. 故天地之塞, 吾其體, 天地之帥, 吾其性, 民吾同胞, 物吾與也.
건은 아버지라 부르고(乾稱父), 곤은 어머니라 부르고(坤稱母), 나는(予) 여기(玆) 미미하게(藐焉), 이에(乃) 섞여서(混然) 그 가운데 있다(中處). 그러므로(故) 천지의 가득함은(天地之塞), 내가(吾) 몸으로 삼고(其體), 천지의 주재자는(天地之帥), 내가 그 본성으로 삼고(吾其性), 백성과 내가 한 형제이고(民吾同胞), 만물과 나는(物吾) 함께한다(與也).
大君者吾父母宗子, 其大臣宗子之家相也. 尊高年所以長其長, 慈孤弱所以幼吾幼, 聖其合德, 賢其秀者也, 凡天下疲癃殘疾惸獨鰥寡, 皆吾兄弟之顚連而無告者也.
대군(임금)은(大君者) 내 어버이의(吾父母) 종자이고(宗子), 그 대신은(其大臣) 종자의 가신이다(宗子之家相也). 늙은 사람을 높이는 것은(尊高年所) 어른을(以長) 그 어른으로 대접하는 것이고(其長), 고아와 약한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慈孤弱) 연약한 것을(所以幼) 내가 연약하게 여기는 것이니(吾幼), 성인은(聖) 그가(其) 덕을 합한 사람이고(合德), 현인은(賢) 그 빼어난 사람이다(其秀者也), 무릇(凡) 천하의(天下) 노쇠한 사람(疲癃), 병든 사람(殘疾), 의지할 곳 없는 사람(惸獨), 홀아비와 과부는(鰥寡), 모두(皆) 내 형제 가운데(吾兄弟之) 가난하고(顚連而) 고할 곳 없는 사람이다(無告者也).
* 疲癃(피륭): 다만 기운(氣運)이 쇠약(衰弱)하여 생긴 나이 많은 노인(老人)의 병(病).
* 殘疾(잔질): 몸에 병(病)이나 탈이 남아 있는 일.
* 惸獨(경독): 아무도 의지(依支)할 곳이 없는 외로움. 또는 그런 사람.
* 鰥寡(환과): 늙어서 아내 없는 사람, 늙어서 남편(男便) 없는 사람.
* 顚連(전련): 몹시 가난하여 어찌할 수가 없음.
于時保之, 子之翼也, 樂且不憂, 純乎孝者也. 違曰悖德, 害仁曰賊, 濟惡者不才, 其踐形惟肖者也. 知化則善述其事, 窮神則善繼其志. 不愧屋漏爲無忝, 存心養性, 爲匪懈.
이에(于時) 그것을 보전하는 것은(保之), 자식으로 공경하는 것이고(子之翼也), 즐겁고 걱정하지 않는 것은(樂且不憂), 순수하게(純乎) 효자인 것이다(孝者也). 어긋나는 것을(違) 패덕이라 하고(曰悖德), 인을 해치는 것을(害仁) 적이라 하고(曰賊), 악을 조장하는 것이(濟惡者) 재주가 없는 것이니(不才), 그 형을 실천하는 사람이(其踐形) 오직 닮은 사람이다(惟肖者也). 변화를 알면(知化則) 그 일을 잘 기술할 수 있고(善述其事), 신을 궁극으로 하면(窮神則) 그 뜻을 잘 이을 수 있다(善繼其志). 집안에 부끄러움이 없으면(不愧屋漏) 욕됨이 없고(爲無忝), 마음을 보존하고(存心) 성을 기르는 것이(養性), 게으르지 않아야 한다(爲匪懈).
惡旨酒, 崇伯子之顧養, 育英才, 穎封人之錫類. 不弛勞而底豫, 舜其功也, 無所逃而待烹, 申生其恭也. 體其受而歸全者, 參乎, 勇於從而順令者, 伯奇也.
맛 좋은 술을 싫어하는 것은(惡旨酒), 숭백의 아들이(崇伯子之) 봉양을 돌아보는 것이고(顧養), 영재를 기르는 것은(育英才), 영봉인의(穎封人之) 길과 같은 류다(錫類).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고(不弛勞而) 기쁘게 하는 것은(底豫), 순이 이룬 공이고(舜其功也), 도망가지 않고(無所逃而) 삶겨 죽기를 기다리는 것은(待烹), 신생이 공손한 것이다(申生其恭也). 그 받은 것을 몸으로 하여(體其受而) 온전하게 돌아가는 것은(歸全者), 증삼이고(參乎), 따르는 것에 용맹하여(勇於從而) 명령에 순종하는 것은(順令者), 백기다(伯奇也).
* 旨酒(지주): 맛 좋은 술.
富貴福澤, 將以厚吾之生也, 貧賤憂戚, 庸玉汝於成也, 存吾順事, 沒吾寧也.
부귀와 윤택함이(富貴福澤), 장차(將) 그것으로(以) 나의 삶을 두텁게 하는 것이고(厚吾之生也), 빈천과 근심 걱정은(貧賤憂戚), 완성하는 것에 옥녀처럼 쓰는 것이니(庸玉汝於成也), 나를 보존하는 것은(存吾) 일에 순종하는 것이고(順事), 나를 죽게 하는 것은(沒吾) 편안함이다(寧也).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127] 여대림(呂大臨) 극기명(克己銘): 나를 이기자 (0) | 2025.04.04 |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126] 장재(張載) 동명(東銘): 동쪽 창에 붙인 좌우명 (0) | 2025.04.04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124] 정이(程頤) 사물잠(四勿箴): 네 가지 일에 대한 경계 (0) | 2025.04.04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123] 주돈이(周敦頤) 태극도설(太極圖說): 태극도에 관한 이야기 (0) | 2025.04.04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122] 주돈이(周敦頤) 애련설(愛蓮說): 연꽃을 사랑한 이야기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