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기(史記)/사기열전(史記列傳)

[史記列傳(사기열전) 76 평원군우경열전(平原君虞卿列傳) 3/4] 강한 나라는 공격을 잘하고 약한 나라는 수비를 잘한다

by प्रज्ञा 2024. 3. 29.
반응형

10 虞卿者, 游說之士也. 躡蹻檐簦說趙孝成王. 一見, 賜黃金百鎰, 白璧一雙;再見, 爲趙上卿, 故號爲虞卿. 

10 우경은(虞卿者), 유세하는 선비다(游說之士也). 짚신을 신고(躡蹻) 삿갓을 쓰고(檐簦) 조 효성왕에게 유세했다(說趙孝成王). 한 번 보고는(一見), 황금 백 일과 백옥 한 쌍을 주고(賜黃金百鎰, 白璧一雙); 두 번 보고는(再見), 조나라 상경으로 삼았고(爲趙上卿), 그러므로(故) 부르는 것이(號) 우경이 되었다(爲虞卿). 

 

* 躡蹻(섭교) : 짚신을 신다. 躡은 짚신으로 짚신은 고대의 먼 길을 갈 때 신었다.

* 檐簦(첨등) : 어깨가지 걸치는 긴 삿갓. 檐은 擔과 통하여 어깨에 걸머짐. 簦(등)은 고대의 삿갓.


11 秦趙戰於長平, 趙不勝, 亡一都尉. 趙王召樓昌與虞卿曰: "軍戰不勝, 尉復死, 寡人使束甲而趨之, 何如?" 樓昌曰: "無益也, 不如發重使爲媾." 虞卿曰: "昌言媾者, 以爲不媾軍必破也. 而制媾者在秦. 且王之論秦也, 欲破趙之軍乎, 不邪?" 王曰: "秦不遺餘力矣, 必且欲破趙軍." 虞卿曰: "王聽臣, 發使出重寶以附楚、魏, 楚、魏欲得王之重寶, 必內吾使. 趙使入楚、魏, 秦必疑天下之合從, 且必恐. 如此, 則媾乃可爲也." 趙王不聽, 與平陽君爲媾, 發鄭朱入秦. 秦內之. 趙王召虞卿曰: "寡人使平陽君爲媾於秦, 秦已內鄭朱矣, 卿之爲奚如?" 虞卿對曰: "王不得媾, 軍必破矣. 天下賀戰者皆在秦矣. 鄭朱, 貴人也, 入秦, 秦王與應侯必顯重以示天下. 楚、魏以趙爲媾, 必不救王. 秦知天下不救王, 則媾不可得成也." 應侯果顯鄭朱以示天下賀戰勝者, 終不肯媾. 長平大敗, 遂圍邯鄲, 爲天下笑. 

11 진나라와 조나라가(秦趙) 장평에서 싸웠는데(戰於長平), 조나라가 이기지 못하고(趙不勝), 도위 하나를 잃었다(亡一都尉).

조왕이(趙王) 누창과 우경을 불러 말하길(召樓昌與虞卿曰): "군대가(軍) 싸움에서 이기지 못하고(戰不勝), 도위가 또 죽었으니(尉復死), 과인이(寡人) 날쌘 군사를 시켜(使束甲而) 쳐들어간다면(趨之), 어떤가(何如)?"라고 했다.

누창이 말하길(樓昌曰): "이로울 것이 없습니다(無益也), 비중 있는 사신을 보내(發重使) 화친하는 것만(爲媾) 못합니다(不如)."라고 했다.

우경이 말하길(虞卿曰): "누창이(昌) 화친을 말한 것은(言媾者), 화친하지 않으면(不媾) <우리> 군대가(軍) 반드시(必) 질 것이라고(破) 여겨서입니다(以爲也). 하지만(而) 화진을 주재하는 것이(制媾者) 진나라에 달렸습니다(在秦). 또한(且) 왕께서 진나라를 논할 때(王之論秦也), 조나라 군대를 무찌르려고 하는 것인가요(欲破趙之軍乎), 아닌가요(不邪)?"라고 했다.

왕이 말하길(王曰): "진나라를(秦) 힘을 남겨두지 않고(不遺餘力矣), 반드시(必) 또(且) 조나라 군대를 깨뜨리려고 할 것이다(欲破趙軍)."라고 했다.

우경이 말하길(虞卿曰): "왕께서(王) 신의 말을 듣고(聽臣), 사신을 보내(發使) 귀중한 보물을 내서(重寶以) 초나라와 위나라에 의지한다면(附楚、魏), 초나라와 위나라는(楚、魏) 왕의 귀중한 보물을 얻으려고(欲得王之重寶), 반드시(必) 우리 사신을 들일 것입니다(內吾使). 조나라의 사신이(趙使) 초나라와 위나라에 들어가면(入楚、魏), 진나라는(秦) 반드시(必) 천하의 합종을 의심할 것이고(疑天下之合從), 또(且) 반드시 두려워할 것입니다(必恐). 이와 같다면(如此, 則) 화친하는 것이(媾) 곧(乃) 가능할 것입니다(可爲也)."라고 했다.

조왕이 듣지 않고(趙王不聽), 평원군과 더불어 <의논하고>(與平陽君) 화친하기 위해서(爲媾), 정주를 보내(發鄭朱) 진나라에 들여보냈다(入秦).진나라가 그를 받아들였다(秦內之). 

조왕이 우경을 불러 말하길(趙王召虞卿曰): "과인이(寡人) 평원군으로 하여금(使平陽君) 진나라에 화친하도록 했는데(爲媾於秦), 진나라가(秦) 이미(已) 정주를 받아들였으니(內鄭朱矣), 경은(卿之) 어찌 여기는가(爲奚如)?"라고 했다.

우경이 대답하여 말하길(虞卿對曰): "왕께서(王) 화친을 얻지 못하고(不得媾), 군대가(軍) 반드시 깨뜨려질 것입니다(必破矣). 천하의(天下) 전쟁을 칭찬하는 사람이(賀戰者) 모두 진나라에 있습니다(皆在秦矣). 정주는(鄭朱), 귀인이니(貴人也), 진에 들어가면(入秦), 진왕과 응후가(秦王與應侯) 반드시(必) 나타내고 존중해서(顯重以) 천하에 보일 것입니다(示天下). 초나라와 위나라는(楚、魏) 조나라가 화친한다고 여기고(以趙爲媾), 반드시(必) 왕을 구원하지 않을 것입니다(不救王). 진나라가(秦) 천하가 왕을 구원하지 않는 것을 알면(知天下不救王, 則) 화친이(媾)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不可得成也)."라고 했다.

응후가(應侯) 과연(果) 정주를 정중히 대우하고(顯鄭朱以) 천하의 전쟁을 칭송하는 사람에게 보였고(示天下賀戰勝者), 마침내(終) 기꺼이 화친하지 않았다(不肯媾). 장평에서 크게 지고(長平大敗), 마침내(遂) 한단이 포위되어(圍邯鄲), 천하의 웃음거리가 되었다(爲天下笑). 

 

* 顯重(현중): 나타내어 존중()함.

 

12 秦既解邯鄲圍, 而趙王入朝, 使趙郝約事於秦, 割六縣而媾. 虞卿謂趙王曰: "秦之攻王也, 倦而歸乎? 王以其力尚能進, 愛王而弗攻乎?" 王曰: "秦之攻我也, 不遺餘力矣, 必以倦而歸也." 虞卿曰: "秦以其力攻其所不能取, 倦而歸, 王又以其力之所不能取以送之, 是助秦自攻也. 來年秦復攻王, 王無救矣." 王以虞卿之言趙郝. 趙郝曰: "虞卿誠能盡秦力之所至乎? 誠知秦力之所不能進, 此彈丸之地弗予, 令秦來年復攻王, 王得無割其內而媾乎?" 王曰: "請聽子割, 子能必使來年秦之不復攻我乎?" 趙郝對曰: "此非臣之所敢任也. 他日三晉之交於秦, 相善也. 今秦善韓、魏而攻王, 王之所以事秦必不如韓、魏也. 今臣爲足下解負親之攻, 開關通幣, 齊交韓、魏, 至來年而王獨取饱於秦, 此王之所以事秦必在韓、魏之後也. 此非臣之所敢任也." 

12 진나라가(秦) ) 한단의 포위를 풀고 나서(解邯鄲圍, 而) 조왕이(趙王) 입조해서(入朝), 조석을 시켜(使趙郝) 진라라를 섬기고(事於秦), 여섯 현을 떼어줄 것을 약속하고(割六縣而) 화친했다(媾).

우경이(虞卿) 조왕에게 말하길(謂趙王曰): "진나라가(秦之) 왕을 공격하고(攻王也), 지쳐서(倦而) 돌아갔다고 보시는지요(歸乎)? 왕께서(王) 그 힘이(其力) 오히려 나아갈 수 있지만(尚能進), 왕을 아껴서(愛王而) 공격하지 않았다고(弗攻) 생각하시는지요(乎)?"라고 했다.

왕이 말하길(王曰): "진나라가(秦之) 나를 공격한 것은(攻我也), 여력을 남기지 않았으니(不遺餘力矣), 반드시(必) 피로했기 때문에(以倦而) 돌아갔을 것이다(歸也)."라고 했다.

우경이 말하길(虞卿曰): "진나라는(秦) 그 힘으로(以其力) 얻을 수 없는 것을 공격하다(攻其所不能取), 지쳐서 돌아갔는데(倦而歸), 왕께서(王() 또(又) 그 힘으로 얻을 수 없는 것을(以其力之所不能取以) 그들에게 주려고 하니(送之), 이것은(是) 진나라를 돕고(助秦) 자기를 공격하는 것입니다(自攻也). 내년에(來年) 진나라가(秦) 다시 왕을 공격하면(復攻王), 왕에게는(王) 구원받을 길이 없습니다(無救矣)."라고 했다.

왕이(王) 우경의 말을(以虞卿之言) 조석에게 했다(趙郝).

조석이 말하길(趙郝曰): "우경의(虞卿) 참으로(誠) 진나라의 힘이 미치는 곳을(秦力之所至) 모두 알까요(能盡乎)? 진실로(誠) 진나라의 힘이 나아갈 수 없는 것을 안다면(知秦力之所不能進), 이(此) 탄환만 한 땅도(彈丸之地) 줄 수 없지만(弗予), 설령(令) 진나라가(秦) 내년에(來年) 다시 왕을 공격한다면(復攻王), 왕께서(王得) 나라 안을 떼어주지 않고(無割其內而) 화친할 수 있을까요(媾乎)?"라고 했다.

왕이 말하길(王曰): "청컨대(請) 그대의 말을 들어(聽子) <땅을> 떼어준다면(割), 그대는(子) 반드시(必) 내년에(來年) 진나라가 나를 다시 공격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겠는가(使秦之不復攻我乎)?"라고 했다.

조석이 말하길(趙郝對曰): "이것은(此) 신이(臣之) 감히(敢) 자신할 수 있는 것이(任) 아닙니다(也). 예전(他日) 삼진이(三晉之) 진나라와 교류할 때(交於秦), 서로 사이가 좋았습니다(相善也). 지금(今) 진나라가(秦) 한나라, 위나라와 잘 지내지만(善韓、魏而) 왕을 공격한 것은(攻王), 왕께서(王之) 진나라를 섬기는 것이(所以事秦) 반드시(必) 한나라와 위나라보다 못해서입니다(不如韓、魏也). 지금(今) 신이(臣) 왕을 위해서(爲足下) 친한 나라를 등져서 받은 공격을(負親之攻) 풀고(解), 관문을 열고(開關) 재물을 통하도록 해서(通幣), 한나라, 위나라와 똑같이 교류하는데(齊交韓、魏), 내년이 되어(至來年而) 왕께서(王) 홀로(獨) 진나라에게 공격을 받는다면(取饱於秦), 이것은(此) 왕께서(王之) 진나라를 섬기는 것이(所以事秦) 반드시(必) 한나라와 위나라보다 뒤에 있기 때문입니다(在韓、魏之後也). 이것은(此) 신이 감히 자신할 것이 아닙니다(非臣之所敢任也)."라고 했다. 


13 王以告虞卿. 虞卿對曰: "郝言『不媾, 來年秦復攻王, 王得無割其內而媾乎』. 今媾, 郝又以不能必秦之不復攻也. 今雖割六城, 何益! 來年復攻, 又割其力之所不能取而媾, 此自盡之術也, 不如無媾. 秦雖善攻, 不能取六縣;趙雖不能守, 終不失六城. 秦倦而歸, 兵必罷. 我以六城收天下以攻罷秦, 是我失之於天下而取償於秦也. 吾國尚利, 孰與坐而割地, 自弱以彊秦哉? 今郝曰『秦善韓、魏而攻趙者, 必(以爲韓魏不救趙也而王之軍必孤有以)王之事秦不如韓、魏也』, 是使王歲以六城事秦也, 即坐而城盡. 來年秦復求割地, 王將與之乎? 弗與, 是棄前功而挑秦禍也;與之, 則無地而給之. 語曰『彊者善攻, 弱者不能守』. 今坐而聽秦, 秦兵不獘而多得地, 是彊秦而弱趙也. 以益彊之秦而割愈弱之趙, 其計故不止矣. 且王之地有盡而秦之求無已, 以有盡之地而給無已之求, 其勢必無趙矣." 

13 왕이(王) 이것을(以) 우경에게 알렸다(告虞卿).

우경이 대답하여 말하길(虞卿對曰): "조석이(郝) '화친하지 않으면(不媾), 내년에(來年) 진나라가(秦) 다시 왕을 공격했을 때(復攻王), 왕께서(王) 그 <나라> 안의 것을 떼어주는 일 없이(得無割其內而) 화친할 수 있습니까(媾乎)'라고 말한 것입니다(言). 지금 화친하더라도(今媾), 조석은(郝) 또(又) 진나라가 다시 공격하지 않으리란 것을(秦之不復攻也) 장담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以不能必). 지금(今) 비록(雖) 여섯 성을 떼어주더라도(割六城), 무슨 이익이 있을까요(何益)! 내년에 다시 공격하면(來年復攻), 또(又) 그 힘으로 취할 수 없는 것을 떼어주고(割其力之所不能取而) 화친할 것이니(媾), 이것은(此) 스스로 멸망하는 방법이니(自盡之術也), 화친하지 않는 것만 못합니다(不如無媾). 진나라가(秦) 비록(雖) 공격을 잘 하지만(善攻), 6개 현을 취할 수 없고(不能取六縣); 조나라가 비록(趙雖) 수비를 잘하지 못하지만(不能守), 끝내(終) 6개 성을 잃지 않았습니다(不失六城). 진나락 피로해져서 돌아가고(秦倦而歸), 군대는 반드시 피곤할 것입니다(兵必罷). 내가(我) 6개의 성으로(以六城) 천하의 마음을 모아(收天下以) 진나라를 공격하면(攻罷秦), 이것은(是) 내가(我) 천하에 그것(6개 현)을 잃고도(失之於天下而) 진나라에서 보상을 받는 것입니다(取償於秦也). 우리나라가(吾國) 오히려(尚) 이익이니(利), 앉아서 땅을 떼어주고(坐而割地), 자신을 약하게 하고(自弱以) 진나라를 강하게 하는 것 중에서(彊秦) 무엇이 더 나은가요(孰與哉)? 지금(今) 조석이(郝) 진나라가 한나라와 위나라와 잘 내면서(秦善韓、魏而) 조나라를 공격한 거은(攻趙者), 반드시(必) 왕께서(王之) 진나라를 섬기는 것이(事秦) 한나라와 위나라보다 못하기 때문(不如韓、魏)'이라고 했는데(也), 이것은(是) 왕으로 하여금(使王) 매년(歲) 성 6개로(以六城) 진나라를 섬기도록 만들  것이고(事秦也), 곧(即) 앉아서(坐而) 성을 잃는 것입니다(城盡). 내년에(來年) 진나라가(秦) 다시 땅을 떼어달라고 요구하면(復求割地), 왕께서(王) 장차(將) 줄 것인가요(與之乎)? 주지 않는다면(弗與), 이것은(是) 이전의 공을 버리는 것이고(棄前功而) 진나라가 <쳐들어오는> 화를 부르는 것이고(挑秦禍也); 준다면(與之, 則) 땅이 땅이 없을 때까지(無地而) 줄 것입니다(給之). 옛말에 이르길(語曰) '강자는 공격을 잘하고(彊者善攻), 약자는 수비를 잘한다고(弱者不能守)' 했습니다. 지금(今) 앉아서(坐而) 진나라의 말을 들어주면(聽秦), 진나라 병사는(秦兵) 애쓰지 ㅇ낳고도(不獘而) 땅을 많이 얻을 것이고(多得地), 이것은(是) 진나라를 강하게 하고(彊秦而) 조나라를 약하게 하는 것입니다(弱趙也). 그것으로(以) 더욱 강해지는 것은(益彊之) 진나라이고(秦而) 떼어주어(割) 더욱(愈) 약해지는 것은 조나라이니(弱之趙), 그 계책은(其計) 그러므로(故) 끝이 없습니다(不止矣). 또(且) 왕의 땅에는(王之地) 다함이 있지만(有盡而) 진나라의 요구는(秦之求) 끝이 없을 것이고(無已), 다함이 있는 땅으로(以有盡之地而) 끝이 없는 요구를 들어주면(給無已之求), 그 형세는(其勢) 반드시(必) 조나라가 없어질 것입니다(無趙矣)."라고 했다. 


14 趙王計未定, 樓緩從秦來, 趙王與樓緩計之, 曰: "予秦地(何)如毋予, 孰吉?" 緩辭讓曰: "此非臣之所能知也." 王曰: "雖然, 試言公之私." 樓緩對曰: "王亦聞夫公甫文伯母乎? 公甫文伯仕於魯, 病死, 女子爲自殺於房中者二人. 其母聞之, 弗哭也. 其相室曰: '焉有子死而弗哭者乎?' 其母曰: '孔子, 賢人也, 逐於魯, 而是人不隨也. 今死而婦人爲之自殺者二人, 若是者必其於長者薄而於婦人厚也.' 故從母言之, 是爲賢母;從妻言之, 是必不免爲妒妻. 故其言一也, 言者異則人心變矣. 今臣新從秦來而言勿予, 則非計也;言予之, 恐王以臣爲爲秦也:故不敢對. 使臣得爲大王計, 不如予之." 王曰: "諾." 

14 조왕이 계책을 정하지 못하고 있는데(趙王計未定), 누완이(樓緩) 진나라에 갔다 와서(從秦來), 조왕고 누완이(趙王與樓緩) 그것을 상의하는데(計之),

<왕이> 말하길(曰): "내가 진나라에 땅을 주는 것과(予秦地) 주지 않는 것((何)如毋予) 중에서, 무엇이 더 좋은가(孰吉)?"라고 했다.

누완이 사양하며 말하길( 緩辭讓曰): "이것은(此) 신아(臣之) 알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所能知也)."라고 했다.

왕이 말하길(王曰): "그렇지만(雖然), 시험삼아(試) 공의 사견을 말해보라(言公之私)."라고 했다.

누완이 대답아ㅕ 말하길(樓緩對曰): "왕께서도 또한(王亦) 저 공보문백의 어머니 이야기를(夫公甫文伯母) 들었습니까(乎)? 공보문백이(公甫文伯) 노나라에서 벼슬할 때(仕於魯), 병으로 죽었는데(病死), 여자가(女子) 그를 위하여(爲) 규방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이(自殺於房中者) 둘이었습니다(二人). 그 어머니가 그것을 듣고(其母聞之), 곡을 하지 않았습니다(弗哭也). 그 유모가 말하길(其相室曰): '어찌(焉) 자식의 죽음이 있는데도(有子死而) 곡을 하지 않습니까(弗哭者乎)?'라과 했다. 그 어머니가 말하길(其母曰): '공자는(孔子), 현인인데도(賢人也), 노나라에서 쫓겨났는데(逐於魯, 而) 이 사람(아들)이 따라가지 않았다(是人不隨也). 지금 죽어서(今死而) 부인이(婦人) 그를 위해(爲之) 자살한 사람이(自殺者) 둘이니(二人), 이와 같은 것은(若是者) 반드시(必) 그 어르에게는 박했지만(其於長者薄而) 부인에게는 두터이 대했기 때문이다(於婦人厚也).'라고 했다. 그러므로(故) 어머니의 입장에서(從母) 말한다면(言之), 이것은(是) 어진 어머니가 되지만(爲賢母); 처의 입장에서(從妻) 말한다면(言之), 이것은(是) 반드시(必) 질퉇심 많은 여자 되기를 면하지 못할 것입니다(不免爲妒妻). 그러므로(故) 그 말은 같지만(其言一也), 말하는 사람이라면(言者異則) 사람의 마음이 변합니다(人心變矣). 지금(今) 신이(臣) 진나라에 다년온 것이(從秦來) 얼마되지 않아서(而) 주지 말라고 한다면(言勿予, 則) 좋은 계책이 아니고(非計也); 주라고 한다면(言予之), 왕께서(王) 신이 진나라를 위한다고 여길까(以臣爲爲秦也) 두렵고(恐): 그러므로(故) 감히 대답하지 못했브니다(不敢對). 신으로 하여금(使臣) 대왕을 위한 계책을 내도록 한다면(得爲大王計), 주는 것만 못합니다(不如予之)."라고 했다.

왕이 말하길(王曰): "알았다(諾)."라고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