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101] 소식(蘇軾) 사보살각기(四菩薩閣記)

by प्रज्ञा 2025. 3. 12.
반응형

始吾先君, 於物無所好, 燕居如齋, 言笑有時, 顧嘗嗜畵, 弟子門人, 無以悅之, 則爭致其所嗜, 庶幾一解其顔. 故雖爲布衣, 而致畵與公卿等.

본래(始) 나의 선친은(吾先君), 사물에 대해(於物) 좋아하는 것이 없었고(無所好), 평소 생활하는 것이(燕居) 근엄했고(如齋), 말하고 웃는 것에(言笑) 때가 있었지만(有時), 다만(顧) 일찍이(嘗) 그림을 좋아해서(嗜畵), 제자나 문인들이(弟子門人), 기쁘게 해 줄 것이 없어서(無以悅之, 則) 다투어(爭) 그 좋아하는 것을 이르게 해서(致其所嗜), 한 번이라도(一) 그 얼굴을 펴기를(解其顔) 바랐다(庶幾). 그러므로(故) 비록(雖) 평민이었지만(爲布衣, 而) 그림을 모은 것이(致畵) 공경과 같았다(與公卿等).

 

* 如齋(여재): '재계하는 것처럼'으로 평소 근엄하게 생활한다는 뜻이다. 

* 庶幾(서기): 바람, 바라건대, 거의.

 

長安有故藏經龕, 唐明皇帝所建. 其門四達八板, 皆吳道子畵. 陽爲菩薩, 陰爲天王, 凡十有六軀. 廣明之亂, 爲賊所焚, 有僧忘其名, 於兵火中, 拔其四板以逃, 旣重不可負, 又迫於賊. 恐不能皆全. 遂竅其兩板以受荷, 西奔於岐, 而託死於烏牙之僧舍, 板留於是, 百八十年矣.

장안에(長安) 옛 장경감이 있었는데(有故藏經龕), 당나라 명황제가(唐明皇帝) 지은 것이다(所建). 그 문이(其門) 사방으로 통해서(四達) 8쪽이었는데(八板), 모두(皆) 오도자의 그림이었다(吳道子畵). 바깥은(陽) 보살이고(爲菩薩), 안은 천왕으로(陰爲天王), 모두(凡) 열여섯 개의 불상이었다(十有六軀). 광묘(황소)의 난에(廣明之亂), 도적이 불태운 것이 되었는데(爲賊所焚), 중이 있어(有僧) 그 이름을 알 수 없는데(忘其名), 병화 가운데(於兵火中), 그 네 쪽을 뜯어서(拔其四板) 도망치다가(以逃), 너무 무거워(旣重) 짊어질 수 없었고(不可負), 또(又) 도적에게 쫓겼다(迫於賊). 모두 보전할 수 없을까 걱정했다(恐不能皆全). 마침내(遂) 그 양쪽 판에 구멍을 뚫고(竅其兩板以) 짊어지고( 受荷), 서쪽으로 달아나(西奔) 기산에 이르러(於岐, 而) 오아의 절에(於烏牙之僧舍) 죽을 때까지 의탁해서(託死), 문짝이(板) 여기에 남았고(留於是), 180년이 되었다(百八十年矣).

 

* 四達(사달): 길이 사방(四方)으로 통(通)함.

 

客有以錢十萬, 得之以示軾者, 軾歸其直而取之, 以獻諸先君. 先君之所嗜, 百有餘品, 一旦以是四板爲甲. 治平四年, 先君沒于京師, 軾自汴入淮, 泝于江, 載是四板以歸.

손님 가운데(客) 십만 전으로(以錢十萬), 그것을 얻어(得之以) 나에게 보여준 사람이 있었는데(示軾者), 내가(軾) 그 값을 돌려주고(歸其直而) 취해서(取之, 以) 선친에게 드렸다(獻諸先君). 선친이(先君之) 좋아하는 것이(所嗜), 백여 가지가 있었는데(百有餘品), 하루아침에(一旦) 이 네 짝으로(以是四板) 으뜸을 삼았다(爲甲). 치평 4년에(治平四年), 선친이(先君) 경사에서 돌아가시고(沒于京師), 내가(軾) 변경으로부터(自汴) 회수에 들어와(入淮), 강수를 거슬러 올라(泝于江), 이 네 짝을 싣고(載是四板以) 돌아왔다(歸).

 

旣免喪, 所嘗與往來浮屠人惟簡, 誦其師之言, 敎軾爲先君捨施, 必所甚愛, 與所不忍捨者, 軾用其說, 思先君之所甚愛, 軾之所不忍捨者, 莫若是板. 故遂以與之, 且告之曰: “此明皇帝之所不能守而焚於賊者也, 而況於余乎. 余視天下之蓄此者多矣, 有能及三世者乎. 其始求之, 若不及, 旣得惟恐失之, 而其子孫, 不以易衣食者鮮矣. 余自度不能長守此也, 是以予子, 子將何以守之?”

부모상을 마치고 나서(旣免喪), 일찍이(嘗) 더불어 오가던 사람인(與往來) 스님 유간이(浮屠人惟簡), 그 스승의 말을 전하면서(誦其師之言), 나로 하여금(敎軾) 선친을 위해(爲先君), 반드시(必) 그 아끼는 것과(所甚愛, 與) 차마 버릴 수 없는 것으로(所不忍捨者) 시주하도록 했고(捨施), 내가(軾) 그 말을 따라(用其說), 선친이 아끼던 것과(先君之所甚愛), 내가(軾之) 차마 버리지 못하는 것을(所不忍捨者) 생각해 보니(思), 무엇도(莫) 이 문짝만 한 것이 없었다(若是板). 그러므로(故) 마침내(遂以) 이것을 주며(與之), 또 일러 말하길(且告之曰): “이것은(此) 명황제가(明皇帝之) 지킬 수 없었고(不能守而) 도적에게 불탄 것이니(焚於賊者也, 而) 하물며(況) 나에게는 어떻겠는가(於余乎). 내가(余) 천하에(天下之) 이런 것을 모은 사람을 본 것이(蓄此者) 많지만(多矣), 삼 대에 이른 사람이 있는가(有能及三世者乎). 그 처음에는(其始) 그것을 구하면서(求之), 구하지 못할 것처럼 하고(若不及), 얻은 뒤에는(旣得) 오직(惟) 잃을 것을 걱정하고(恐失之, 而) 그 자손이(其子孫), 옷과 음식으로 바꾸지 않는 사람이(不以易衣食者) 드물다(鮮矣). 내가(余) 스스로 생각하기에(自度) 이것을 오랫동안 지킬 수 없을 것이고(不能長守此也), 이 때문에(是以) 그대에게 주니(予子), 그대는(子) 장차(將) 어찌(何以) 이것을 지킬 것인가(守之)?”라고 했다.

 

* 免喪(면상): 부모()의 복 입는 동안이 끝나는 일.

* 捨施(사시): 시주하는 일.

 

簡曰: “吾以身守之, 吾眼可矐, 吾足可斮, 吾畵不可奪, 若是足以守之歟.” 軾曰: “未也. 足以終子之世而已.” 簡曰: “吾又盟於佛而以鬼守之, 凡取是者, 與凡以是予人者, 其罪如律, 若是足以守之歟.” 軾曰: “未也. 世有無佛而蔑鬼者.” “然則何以守之?” 曰: “軾之以是予子者, 凡以爲先君捨也, 天下豈有無父之人歟. 其誰忍取之. 若其聞是而不悛, 不惟一觀而已, 將必取之然後爲快, 則其人之賢愚, 與廣明之焚此者一也. 全其子孫難矣, 而況能久有此乎. 且夫不可取者, 存乎子, 取不取者, 存乎人, 子勉之矣. 爲子之不可取者而已, 又何知焉.”

유간이 말하길(簡曰): “내가(吾) 몸으로(以身) 지키고(守之), 내 눈이 멀고(吾眼可矐), 내 발이 잘리더라도(吾足可斮), 내 그림을(吾畵) 뺏을 수 없으니(不可奪), 이와 같다면(若是) 지키기에 충분하지 않은가(足以守之歟).”라고 했다.

내가 말하길(軾曰): “부족하다(未也). 그대의 평생을 끝낼 때까지 충분할 뿐이다(足以終子之世而已).”라고 했다.

유간이 말하길(簡曰): “내가 또(吾又) 부처님께 맹세하고(盟於佛而) 귀신으로(以鬼) 지킬 것이니(守之), 무릇(凡) 이것을 취하는 사람과(取是者, 與) 무릇(凡) 이것을 남에게 주는 사람은(以是予人者), 그 죄가(其罪) 법률에 따를 것이니(如律), 이와 같다면(若是) 지키기에 충분하지 않은가(足以守之歟).”라고 했다.

내가 말하길(軾曰): “부족하다(未也). 세상에(世) 부처가 없다 여기고 귀신을 업신여기는 사람이 있다(有無佛而蔑鬼者).”라고 했다.

“그렇다면(然則) 어떻게(何以) 지키는가(守之)?”라고 했다.

<내가> 말하길(曰): “내가(軾之) 이것을(以是) 그대에게 주는 것은(予子者), 무릇(凡) 선친을 위해(以爲先君) 포기하는 것이니(捨也), 천하에(天下) 어찌(豈) 아버지가 없는 사람이 있겠습니까(有無父之人歟). 그 누가(其誰) 차마 취하겠습니까(忍取之). 만약(若) 그가 이것을 듣고도(其聞是而) 그만두지 않고(不悛), 오직 한 번 볼뿐이 아니고(不惟一觀而已), 장차(將) 반드시(必) 이것을 취하고 나서(取之然後) 마음이 시원해진다면(爲快, 則) 그 사람의 현명함과 어리석음은(其人之賢愚), 광명 연간에 이것을 불태우려는 사람과(與廣明之焚此者) 같을 것입니다(一也). 그 자손을(其子孫) 온전히 하기(全) 어려울 것이니(難矣, 而) 하물며(況) 이것을 오래 가질 수 있을까요(能久有此乎). 또(且) 취할 수 없다는 것은(夫不可取者), 그대에게 있는 것이고(存乎子), 가져가고 가져가지 않는 것은(取不取者), 남에게 달린 것이니(存乎人), 그대가(子) 힘써야 할 것입니다(勉之矣). 그대가(爲子之) 취할 수 없게 할 수 있을 뿐이니(不可取者而已), 또(又) 어찌(何) 알까요(知焉).”라고 했다.

 

旣以予簡, 簡以錢百萬, 度爲閣以藏之. 且畵先君像其上, 軾助錢二十之一, 期以明年冬閣成. 熙寧元年十月日記.

그리고(旣以) 유간에게 주었고(予簡), 유간이(簡) 백만 전으로(以錢百萬), 설계하고(度) 각을 지어(爲閣以) 그것을 보관했다(藏之). 또(且) 선친의 화상을(先君像) 그 위에 그려(其上), 내가(軾) 이십 분의 일을 돕고(助錢二十之一), 다음 해 겨울에(以明年冬) 누각이 완성될 것을(閣成) 기약했다(期).

희녕 원년(熙寧元年) 시월에 쓰다(十月日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