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 양저(司馬穰苴)는 춘추시대 제나라의 장군으로, 성은 규(嬀), 씨는 전(田), 이름은 양저(穰苴)이다. 재상 안영(晏嬰)의 추천으로 등용되어 장군에 임명되었다. 군사적으로 불리했던 제나라에 큰 공을 세우자 경공(景公)이 대사마로 임명하였으며, 이때 사마(司馬)를 씨로 칭하여 사마양저라 불리었다. 사마천은 사마양저에 대해서 이론과 실천 면에서 '사마법'을 계승 발전시키고 대의와 예절을 아는 유가의 풍모를 지닌 장수라고 평가했다.
司馬穰苴者, 田完之苗裔也. 齊景公時, 晉伐阿·甄, 而燕侵河上, 齊師敗績. 景公患之. 晏嬰乃薦田穰苴曰: "穰苴雖田氏庶孽, 然其人文能附眾, 武能威敵, 願君試之."
사마양저는(司馬穰苴者), 전완의(田完之) 먼 후손이다(苗裔也). 제나라 경공 때(齊景公時), 진나라가(晉) 아읍과 견읍을 치고(伐阿·甄, 而) 연나라가(燕) 하상을 침략하니(侵河上), 제나라 군대가(齊師) 싸워서 졌다(敗績). 경공이 이를 걱정했다(景公患之). 안영이 이에(晏嬰乃) 전양저를 천거하며 말하길(薦田穰苴曰): "양저가(穰苴) 비록(雖) 전씨의 서출이지만(田氏庶孽, 然) 그 사람의 글이(其人文) 여럿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고(能附眾), 무력은(武) 적을 두렵게 할 수 있으니(能威敵), 원컨대(願) 임금께서 그를 시험해 보십시오(君試之)."라고 했다.
* 苗裔(묘예): 여러 대를 걸친 먼 후대(後代)의 자손(子孫).
* 敗績(패적): 자기(自己) 나라의 패전(敗戰)을 일컫는 말. 대패(大敗)하다. 싸워서 무참하게 패하다.
景公召穰苴, 與語兵事, 大說之, 以爲將軍, 將兵捍燕晉之師. 穰苴曰: "臣素卑賤, 君擢之閭伍之中, 加之大夫之上, 士卒未附, 百姓不信, 人微權輕, 願得君之寵臣, 國之所尊, 以監軍, 乃可."
경공이(景公) 양저를 불러(召穰苴), 더불어(與) 군대의 일을 이야기하고(語兵事), 크게 기뻐하며(大說之, 以) 장군으로 삼고(爲將軍), 장차 군사를 이끌어(將兵) 연나라와 진나라의 군대를 막도록 했다(捍燕晉之師). 양저가 말하길(穰苴曰): "신은(臣) 본래(素) 비천한 신분인데(卑賤), 임금께서(君) 백성 가운데서 뽑아(擢之閭伍之中), 대부의 위에 올렸으나(加之大夫之上), 사졸이(士卒) 아직 따르지 않고(未附), 백성이(百姓) 믿지 않아(不信), 사람(저)의 <출신이> 미천하고(人微) 권세가 가벼우니(權輕), 원컨대(願) 임금이 총애하는 신하로(君之寵臣), 나라의 존경을 받는 사람을 얻어(得國之所尊, 以) 감군으로 삼는 것이(監軍), 좋을 것입니다(乃可)."라고 했다.
於是景公許之, 使莊賈往. 穰苴既辭, 與莊賈約曰: "旦日日中會於軍門." 穰苴先馳至軍, 立表下漏待賈. 賈素驕貴, 以爲將已之軍而己爲監, 不甚急;親戚左右送之, 留飲. 日中而賈不至. 穰苴則仆表決漏, 入, 行軍勒兵, 申明約束.
이에(於是) 경공이 이것을 허락하고(景公許之), 장가로 하여금(使莊賈) 가도록 했다(往). 양저가(穰苴) <떠나는> 인사를 하고 나서(既辭), 장가와 더불어(與莊賈) 약속하여 말하길(約曰): "내일(旦日) 정오에(日中) 군문에서(於軍門) 모이자(會)."라고 했다. 양저가(穰苴) 먼저 말을 달려(先馳) 군영에 이르러(至軍), 해시계를 세우고(立表) 물시계를 내려(下漏) 장가를 기다렸다(待賈). 장가가(賈) 본래(素) 교만한 귀족으로(驕貴, 以) 장수된 자가(爲將) 이미(已) 군영에 갔고(之軍而) 자기는(己) 감군이어서(爲監), 매우 급하게 여기지 않았고(不甚急); 친척과 좌우 측근이(親戚左右) 그를 배웅하자(送之), 머물며 술을 마셨다(留飲). 정오가 되었는데도(日中而) 장가가 오지 않았다(賈不至). 양저는(穰苴則) 해시계를 넘어뜨리고(仆表) 물시계를 쏟고(決漏), <군영에> 들어가(入), 군대를 움직여(行軍) 병사들을 점검하고(勒兵), 약속한 사실을 거듭 공표했다(申明約束).
* 日中(일중): 1. 오정(午正) 때, 2. 밤낮의 길이가 같은 때. 즉, 춘분(春分)과 추분(秋分).
* 立表下漏(입표하루) : 해시계와 물시계를 설치함. 입표(立表)는 양지쪽에 통나무를 세워 놓고 그림자가 이동하는 것에 따라 시간을 계산하는 해시계를 말하며, 하루(下漏)는 물시계에 물을 흐르게 하여 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말한다.
* 勒兵(늑병): 병사(兵士)의 대오(隊伍)를 정돈(整頓)하여 자세(仔細)히 검열(檢閱)하는 일. 勒(늑): 다스리다, 정돈하다(整頓--)
* 申明(신명): 거듭 밝히다, 표명하다. 공표하다.
約束既定, 夕時, 莊賈乃至. 穰苴曰: "何後期爲?" 賈謝曰: "不佞大夫親戚送之, 故留." 穰苴曰: "將受命之日則忘其家, 臨軍約束則忘其親, 援枹鼓之急則忘其身. 今敵國深侵, 邦內騷動, 士卒暴露於境, 君寢不安席, 食不甘味, 百姓之命皆懸於君, 何謂相送乎!" 召軍正問曰: "軍法期而後至者雲何?" 對曰: "當斬." 莊賈懼, 使人馳報景公, 請救.
약속(군령)이 이미 정해지고(約束既定), 저녁때가 되어(夕時), 장가가 드디어 왔다(莊賈乃至). 양저가 말하길(穰苴曰): "어째서(何) 기한보다 늦었는가(後期爲)?"라고 했다. 장가가 말하길(賈謝曰): "저의(不佞) 대부와 친척이(大夫親戚) 배웅했고(送之), 그러므로 늦었습니다(故留)."라고 했다. 양저가 말하길(穰苴曰): "장수가(將) 명을 받은 날에는(受命之日則) 그 집안을 잊고(忘其家), 군대에 임하여(臨軍) 군령을 정하면(約束則) 그 친척을 잊고(忘其親), 북을 치며(援枹鼓之) 급히 <나아갈 때면>(急則) 자기 몸을 잊는다(忘其身). 지금(今) 적국이(敵國) 깊숙이 쳐들어와(深侵), 나라 안에(邦內) 소동이 일어나서(騷動), 사졸이(士卒) 국경에서(於境) 햇살과 이슬을 맞으며(暴露), 임금이(君) 잠자라리에서(寢) 편안하게 자리하지 못하고(不安席), 먹을 때(食) 단맛을 모르고(不甘味), 백성의 목숨이(百姓之命) 모두(皆) 당신에게 달렸는데(懸於君), 어찌(何) 송별을 말할 수 있는가(謂相送乎!"라고 했다. 군정을 불러(召軍正) 말하기를(問曰): "군법에(軍法) 약속보다 늦게(期而後) 도착한 사람은(至者) 어찌하는가(雲何)?"라고 했다. 대답하여 말하길(對曰): "마땅히 참형에 처합니다(當斬)."라고 했다. 장가가 두려워하여(莊賈懼), 사람을 시켜(使人) 달려가(馳) 경공에게 알리고(報景公), 구원을 청했다(請救).
* 不佞(불녕): (문장(文章)에서) 자기(自己)를 겸손(謙遜)히 이르는 말.
* 相送(상송): 피차간(彼此間)에 서로 보냄.
既往, 未及反, 於是遂斬莊賈以徇三軍. 三軍之士皆振慄. 久之, 景公遣使者持節赦賈, 馳入軍中. 穰苴曰: "將在軍, 君令有所不受." 問軍正曰: "馳三軍法何? 」正曰: "當斬." 使者大懼. 穰苴曰: "君之使不可殺之." 乃斬其仆, 車之左駙, 馬之左驂, 以徇三軍. 遣使者還報, 然後行. 士卒次舍井灶飲食問疾醫藥, 身自拊循之. 悉取將軍之資糧享士卒, 身與士卒平分糧食. 最比其羸弱者, 三日而後勒兵. 病者皆求行, 爭奮出爲之赴戰. 晉師聞之, 爲罷去. 燕師聞之, 度水而解. 於是追擊之, 遂取所亡封內故境而引兵歸. 未至國, 釋兵旅, 解約束, 誓盟而後入邑. 景公與諸大夫郊迎, 勞師成禮, 然後反歸寢. 既見穰苴, 尊爲大司馬. 田氏日以益尊於齊.
가고 나서(既往), 돌아옴에 이르지 않았는데(未及反), 이에(於是) 장가를 참수하고(遂斬莊賈以) 삼군에 돌려보였다(徇三軍). 삼군의 병사가(三軍之士) 모두(皆) 두려움에 떨었다(振慄). 한참이 지나(久之), 경공이(景公) 사자를 보내(遣使者) 부절을 가지고(持節) 장가를 사면하라고(赦賈), 말을 달려(馳) 군중에 들어왔다(入軍中). 양저가 말하길(穰苴曰): "장수가(將) 군영에 있으면(在軍), 임금의 명령이라도(君令) 받지 않는 일이 있다(有所不受)."라고 했다. 군정에게 물어 말하길(問軍正曰): "삼군에서 말을 달렸는데(馳三軍) 법이 어떠한가(法何)?"라고 했다. 군정이 말하길(正曰): "마땅히 참형에 처합니다(當斬)."라고 했다. 사자가(使者) 크게 두려워했다(大懼). 양저가 말하길(穰苴曰): "임금의 사자를(君之使) 죽일 수 없다(不可殺之)."라고 했다. 이에(乃) 그 마부와(其仆), 수레의(車之) 왼쪽 곁나무와(左駙), 말의 좌측 곁마를 베고서(斬馬之左驂, 以) 삼군에 둘러 보였다(徇三軍). 사자를 보내(遣使者) 다시 보고하고(還報), 나서(然後) <싸움터로> 갔다(行).
* 振慄(진율), 震慄(진율): 두렵거나 무서워 몸을 떪.
士卒次舍井灶飲食問疾醫藥, 身自拊循之. 悉取將軍之資糧享士卒, 身與士卒平分糧食. 最比其羸弱者, 三日而後勒兵. 病者皆求行, 爭奮出爲之赴戰. 晉師聞之, 爲罷去. 燕師聞之, 度水而解. 於是追擊之, 遂取所亡封內故境而引兵歸. 未至國, 釋兵旅, 解約束, 誓盟而後入邑. 景公與諸大夫郊迎, 勞師成禮, 然後反歸寢. 既見穰苴, 尊爲大司馬. 田氏日以益尊於齊.
사졸들의(士卒) 막사(次舍), 우물과 아궁이(井灶) 먹고 마실 것을 묻고(飲食問) 환자에게 의약을 주고(疾醫藥), 몸소(身自) 위문했다(拊循之). 장군에게 주는 물자와 식량을(將軍之資糧) 모두 가져다가(悉取) 사졸에게 누리게 하고(享士卒), 자신과(身與) 사졸이(士卒) 양식을 공평하게 나누었다(平分糧食). 가장(最比) 그 허약한 병사도(其羸弱者), 삼일이 지나(三日而後) 대오를 갖추었다(勒兵). 병자가(病者) 모두(皆) 출행하기를 요구하고(求行), 앞을 다투어(爭奮出) 전쟁에 참가하려고 했다(爲之赴戰). 진나라 군대가(晉師) 이것을 듣고(聞之), 물러갔다(爲罷去). 연나라 군대도(燕師) 이것을 듣고(聞之), 물을 건너(度水而) 흩어졌다(解). 이에(於是) 추격하여(追) 그들을 공격하고(擊之), 마침내(遂) 봉국의(封內) 잃었던 옛 땅을 취하고(取所亡故境而) 군대를 이끌고 돌아왔다(引兵歸). 나라에 이르지 못해(未至國), 군대의 무장을 풀고(釋兵旅), 군령을 거두고(解約束), <충성을> 맹세하고 나서(誓盟而後) 도성에 들어갔다(入邑). 경공과(景公與) 여러 대부가(諸大夫) 교외에서 맞이하고(郊迎), 군대의 노고를 치하하고(勞師) 의식을 치른 뒤에(成禮, 然後) 돌아가 잠자리에 들었다(反歸寢). 양저를 보고 나서(既見穰苴), 존중하여(尊) 대사마로 삼았다(爲大司馬). 전씨는(田氏) 제나라에서(於齊) 날로(日以) 더욱 존중받았다(益尊).
* 次舍(차사) : 숙영지(宿營地). 次는 머무름.
* 拊循(부순) : 위문하다. 어루만지다.
* 資糧(자량): 여행(旅行)의 비용(費用)과 식량(食糧).
* 羸弱(이약) : 허약하다. 여위고 약하다.
* 赴戰(부전): 전쟁에 참가하러 나감.
已而大夫鮑氏·高·國之屬害之, 譖於景公. 景公退穰苴, 苴發疾而死. 田乞·田豹之徒由此怨高·國等. 其後及田常殺簡公, 盡滅高子·國子之族. 至常曾孫和, 因自立爲齊威王, 用兵行威, 大放穰苴之法, 而諸侯朝齊.
얼마 뒤(已而) 대부 포씨, 고씨, 국씨의 무리가(大夫鮑氏·高·國之屬) 그를 해치려고(害之), 경공에게 헐뜯었다(譖於景公). 경공이(景公) 양저를 물러나게 하자(退穰苴), 양저가(苴) 병이 나서(發疾而) 죽었다(死). 전기와 전표의 무리는(田乞·田豹之徒) 이것으로 말미암아(由此) 고씨와 국씨 등을 원망했다(怨高·國等). 그후(其後) 전상이(田常) 간공을 죽였을 때(及殺簡公), 고씨와 국씨의 일족을(高子·國子之族) 모두 죽였다(盡滅). 전상의 증손 전화에 이르러(至常曾孫和), 자립하여(因自立) 제나라 위왕이 되었고(爲齊威王), 병사를 쓰고(用兵) 위엄을 행하는 것은(行威), 대부분(大) 양저의 법을 본받아서(放穰苴之法, 而) 제후들이 제나라에 조회했다(諸侯朝齊).
齊威王使大夫追論古者司馬兵法而附穰苴於其中, 因號曰司馬穰苴兵法.
제나라 ㅜ이왕이(齊威王) 대부로 하여금(使大夫) 옛날(古者) 사마병법을(司馬兵法) 정리하여 논의하도록 하고( 追論而) 그 가운데(於其中) 양저의 것을 붙여(附穰苴), 이에(因) 부르기를(號) 사마양저병법이라 했다(曰司馬穰苴兵法).
* 追論(추론): 추구(追求)하여 논란(論難)함.
太史公曰: 余讀司馬兵法, 閎廓深遠, 雖三代征伐, 未能竟其義, 如其文也, 亦少褒矣. 若夫穰苴, 區區爲小國行師, 何暇及司馬兵法之揖讓乎? 世既多司馬兵法, 以故不論, 著穰苴之列傳焉.
태사공이 말하길(太史公曰): 내가(余) 사마병법을 읽었는데(讀司馬兵法), 넓고 깊고 심원해서(閎廓深遠), 비록(雖) 삼대(하은주)의 제왕이 하는 정벌이라도(三代征伐), 그 뜻을 극에 이르도록 하지 못할 것이고(未能竟其義), 그 글로 말하면(如其文也), 또(亦) 다소 과장이 있다(少褒矣). 저 양저는(若夫穰苴), 구차하게(區區) 소국을 위하여(爲小國) 군대를 움직였으니(行師), 어느 겨를에(何暇) 사마병법의 겸손한 태도에 이르렀겠는가(及司馬兵法之揖讓乎)? 세상이(世) 이미(既) 사마병법을 높이 평가하고(多司馬兵法, 以) 그러므로(故) 거론하지 않고(不論), 양저의 열전을 지었다(著穰苴之列傳焉).
* 閎廓(광곽), 宏廓(굉곽): 넓고 깊은
* 區區(구구): 떳떳하지 못하고 구차(苟且)스러움.
* 揖讓(읍양): 1. 예(禮)를 다하여 사양(辭讓)함, 2. 읍(揖)하는 동작(動作)과 사양(辭讓)하는 동작(動作), 3. 겸손(謙遜)한 태도(態度)를 가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