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맹목적으로 다른 사람을 모방하려고 하면 다른 사람의 장점도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자신의 본모습도 잃어버린다. 공손룡(公孫龍)이 위모(魏牟)에게 '장자'의 도(道)를 배우고 싶다고 하자, '위모'가 다음과 같이 비유한 것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다.
유의어: 수릉실보(壽陵失步), 한단포복(邯鄲匍匐)
且子獨不聞夫壽陵餘子之學行於邯鄲與? 未得國能, 又失其故行矣, 直匍匐而歸耳. 今子不去, 將忘子之故, 失子之業.” 公孫龍口呿而不合, 舌擧而不下, 乃逸而走. - 『장자(莊子)』 「추수(秋水)」
또한(且) 그대한(子) 단지(獨) 저 수릉의(夫壽陵) 어떤 사람이(餘子之) 한단에서(於邯鄲) 걸음걸이를 배우려 한 것을(學行) 듣지 못했는가(不聞與)? <자기> 나라 <걸음의> 능숙함을(國能) 얻지 못하고(未得), 또(又) 그 옛 걸음걸이를(其故行) 잃고(失矣), 다만(直) 배를 대고 기어서(匍匐而) 돌아갔을 뿐이다(歸耳). 지금(今) 그대가(子) 떠나지 않으면(不去), 장차(將) 그대의 옛것을 잊을 것이고(忘子之故), 그대의 일을 잃을 것이다(失子之業).”라고 했다.
공손룡이(公孫龍) 입을 벌리고(口呿而) 다물지 못하고(不合), 혀를 들고서(舌擧而) 내리지 못하고(不下), 이에 달아났다(乃逸而走). - 『장자(莊子)』 「추수(秋水)」
* 餘子(여자): 1. 같은 어머니에게서 난 적자(嫡子)의 아우, 2. 본인(本人) 이외(以外)의 사람.
* 匍匐(포복): 배를 땅에 대고 김.
반응형
'고사성어(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9] 모수자천(毛遂自薦) / 모수가 자기를 스스로 추천하다 (0) | 2024.11.10 |
---|---|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8] 계명구도(鷄鳴狗盜) / 닭처럼 울고 개처럼 훔치다 (0) | 2024.11.07 |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6] 여도지죄(餘桃之罪) /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판단 기준 (0) | 2024.11.05 |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5] 노마지지(老馬之智) / 늙은 말과 늙은 개미의 지혜를 빌리다 (0) | 2024.11.03 |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4] 지어지앙(池魚之殃) / 상관 없는 엉뚱한 사람이 피해를 입는다 (0) | 2024.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