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자객의 한 사람인 형가(荊軻)의 행동에서 비롯된 말이다. 글자 그대로 ‘곁에 사람이 없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원래 거리낌 없는 당당한 태도를 가리켰는데 나중에는 무례하거나 교만한 태도를 표현할 때 쓰였다.
위(衛) 나라 사람인 형가(荊軻)는 문학과 무예에 능한 사람이었다. 연나라에서 비파(琵琶)의 명수인 고점리(高漸離)를 사귀었고, 그와 술을 마시다 취기가 돌면, 고점리는 비파를 켜고, 형가는 이에 맞추어 춤을 추며 고성방가 하였다. 그러다가 떠도는 신세를 한탄하며 감정에 복받쳐 둘이 얼싸안고 울기도 웃기도 하였다. 이때 이 모습은 마치 곁에 아무도 없는 것처럼 보였다고 한다.
유의어: 안중무인(眼中無人), 안하무인(眼下無人), 오안불손(傲岸不遜), 오만불손(傲慢不遜), 경거망동(輕擧妄動)
荊軻者, 衛人也.(형가자 위인야) 其先乃齊人, 徙於衛, 衛人謂之慶卿.(기선내제인 사어위 위인위지경경) 而之燕, 燕人謂之荊卿.(이지연 연인위지형경)
형가는(荊軻者), 위나라 사람이다(衛人也.) 그 선조는(其先) 곧(乃) 제나라 사람으로(齊人), 위나라로 이사 갔고(徙於衛), 위나라 사람들이(衛人) 그를 경경이라고 불렀다(謂之慶卿). 그리고(而) 연나라에 갔고(之燕), 연나라 사람들(燕人) 그를 형경이라고 불렀다(謂之荊卿).
荊卿好讀書擊劍, 以術說衛元君, 衛元君不用.(형경호독서격검 이술세위원군 위원군불용) 其後秦伐魏, 置東郡, 徙衛元君之支屬於野王.(기후진벌위 치동군 사위원군지지속어야왕)
형경은(荊卿) 책 읽기와(讀書) 검술을(擊劍) 좋아했고(好), 기예로(以術) 위원군에게 유세했지만(說衛元君), 위원군이(衛元君) 등용하지 않았다(不用). 그 뒤(其後) 진나라가(秦) 위나라를 정벌하고(伐魏), 동군을 두었고(置東郡), 위원군의 일족이(衛元君之支屬) 야왕으로(於野王) 옮겨갔다(徙).
荊軻嘗遊過楡次, 與蓋聶論劍, 蓋聶怒而目之.(형가상유과유차 여갑섭논검 갑섭노이목지) 荊軻出, 人或言複召荊卿.(형가출 인혹언부소형경)
형가가(荊軻) 일찍이(嘗) 유차를(楡次) 노닐며 지나다가(遊過), 갑섭과(與蓋聶) 검술을 논했는데(論劍), 갑섭이 노여워하며(蓋聶怒而) 노려보았다(目之). 형가가 나가자(荊軻出), 어떤 사람이(人或) 형가를 다시 부르라고(複召荊卿) 말했다(言).
蓋聶曰: “曩者吾與論劍有不稱者, 吾目之.(갑섭왈 낭자오여논검유불칭자 오목지) 試往. 是宜去, 不敢留.”(시왕 시의거 불감유)
갑섭이 말하길(蓋聶曰): “지난번(曩者) 내가(吾) 더불어 논검하는데(與論劍) 어울리지 않는 것이 있었고(有不稱者), 내가(吾) 그를 노려보았다(目之). 시험 삼아 가본다면(試往), 그가(是) 마땅히 떠나서(宜去), 감히 머무르지 못했을 것이다(不敢留).”라고 했다.
* 曩者(낭자): 지난번, 말하는 때 이전(以前)의 지나간 차례(次例)나 때.
使使往之主人, 荊卿則已駕而去楡次矣.(사사왕지주인 형경즉이가이거유차의) 使者還報, 蓋聶曰: “固去也, 吾曩者目攝之!”(사자환보 갑섭왈 고거야 오낭자목섭지)
심부름꾼을 시켜(使使) 그 주인집에(之主人) 가도록 했는데(往), 형경은(荊卿則) 이미(已) 멍에를 매고(駕而) 유차로 떠났다(去楡次矣). 심부름꾼이(使者) 돌아와 보고하자(還報), 갑섭이 말하길(蓋聶曰): “진실로 떠났을 것이다(固去也), 내가(吾) 지난번에(曩者) 노려보며 화를 냈다(目攝之)!”라고 했다.
荊軻遊於邯鄲, 魯句踐與荊軻博, 爭道, 魯句踐怒而叱之, 荊軻嘿而逃去, 遂不複會.(형가유어한단 노구천여형가박 쟁도 노구천노이질지 형가묵이도거 수불부회)
형가가(荊軻) 한단에서 노닐다가(遊於邯鄲), 노구천과 형가가(魯句踐與荊軻) 쌍륙 놀이를 했는데(博), 길을 다투다가(爭道), 노구천이 화를 내며(魯句踐怒而) 그를 꾸짖자(叱之), 형가가(荊軻) 말없이(嘿而) 달아나서(逃去), 마침내(遂) 다시 만나지 못했다(不複會).
荊軻旣至燕, 愛燕之狗屠及善擊築者高漸離.(형가기지연 애연지구서급선격축자고점리) 荊軻嗜酒, 日與狗屠及高漸離飮於燕市, 酒酣以往, 高漸離擊築, 荊軻和而歌於市中, 相樂也.(형가기주 일여구서급고점리음어연시 주감이왕 고점리격축 형가화이가어시중 상락야) 已而相泣, 旁若無人者.(이이상읍 방약무인자)
형가가(荊軻) 연나라에 도착한 뒤로(旣至燕), 연나라의 개 잡는 사람과(燕之狗屠及) 축을 잘 타는 사람인(善擊築者) 고점리와(高漸離) 친해졌다(愛). 형가가(荊軻) 술을 즐겨서(嗜酒), 날마다(日) 개 잡는 사람과 고점리와(與狗屠及高漸離) 연나라 시장에서 술을 마셨는데(飮於燕市), 술자리의 흥이 더해지면(酒酣以往), 고점리가(高漸離) 축을 타고(擊築), 형가가 <그에> 맞춰서(荊軻和而) 시장에서 노래 부르고(歌於市中), 서로 즐겼다(相樂也). 잠시 뒤(已而) 서로 우는 것이(相泣), 곁에(旁) 사람이 없는 것처럼 했다(若無人者).
* 狗屠(구도): 개를 잡음, 개백정.
荊軻雖遊於酒人乎, 然其爲人沈深好書, 其所遊諸侯, 盡與其賢豪長者相結.(형가수유어주인호 연기위인침심호서 其之燕, 燕之處士田光先生亦善待之, 知其非庸人也. - 『사기(史記)』 「자객열전(刺客列傳)」
형가가(荊軻) 비록(雖) 술 마시는 사람과 놀았지만(遊於酒人乎), 그러나(然) 그 사람됨이(其爲人) 깊이 생각하고(沈深) 책을 좋아했고(好書), 그(其) 제후국을 떠돌며(所遊諸侯), 모두(盡) 현명하고 호걸스러운 사람과(與其賢豪長者) 서로 맺었다(相結). 그가(其) 연나라에 가니(之燕), 연나라 처사(燕之處士) 전광 선생도(田光先生) 또한(亦) 그를 잘 대우했고(善待之), 그가(其) 평범한 사람이 아님을(非庸人) 알았다(知也).
* 沈深(침심): 여념이 없이 한 생각에 골똘함.
'고사성어(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13] 화룡점정(畵龍點睛) / 가장 중요한 것을 마지막에 한다 (0) | 2024.11.13 |
---|---|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12] 문전작라(門前雀羅) / 가난하고 천해지면 사귀는 정과 세태를 알게 된다 (0) | 2024.11.12 |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10] 여세추이(與世推移) / 세상의 변화에 융통성 있게 적응하는 것 (0) | 2024.11.11 |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9] 모수자천(毛遂自薦) / 모수가 자기를 스스로 추천하다 (0) | 2024.11.10 |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8] 계명구도(鷄鳴狗盜) / 닭처럼 울고 개처럼 훔치다 (0) | 2024.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