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룡점정(畵龍點睛)은 직역하면 '용을 그리고 눈동자를 마지막으로 그려 넣는다'란 뜻이다. 가장 요긴한 부분을 마치고 일을 끝낸다는 뜻으로 당시에는 대부분의 생물을 그리는 그림에는 생명을 불어넣는다는 의미였는지 눈동자를 마지막에 그렸다고 한다.
중국 남북조(南北朝) 시대 양(梁)나라의 전설적인 화백 장승요(張僧繇)가 금릉(金陵=남경)에 있는 안락사(安樂寺)라는 절에서 하얀 용 네 마리를 벽에 그렸는데 눈동자를 그리지 않았다고 한다. 왜 눈동자를 그리지 않았느냐고 사름들이 물었고 장승요는 눈동자를 그리면 용이 하늘로 날아간다고 대답했다. 사람들이 그 말을 믿지 않자 직접 두 마리의 눈동자를 그려 넣었더니 실제 용이 되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고 눈동자가 그려지지 않은 용들은 남았다고 한다.
張僧繇于金陵安樂寺, 畫四龍于壁, 不點睛.(장승용우금릉안락사 화사룡우벽 부점정) 每曰: “點之, 卽飛去.”(매왈 점지 즉비거) 人以爲誑.(인이위광)
장승요가(張僧繇) 금릉 안락사에서(于金陵安樂寺), 벽에(于壁) 용 네 마리를 그렸는데(畫四龍), 눈동자를 그리지 않았다(不點睛).
말할 때마다(每曰): “눈동자를 그리면(點之), 바로(卽) 날아가버릴 것이다(飛去).”라고 했다.
사람들이(人) 속이는 것이라고 생각했다(以爲誑).
* 張僧繇(장승요): 중국(中國) 양나라(梁) 무제(武帝)에게 봉사(奉仕)한 궁정(宮廷) 화가(畫家). 도교(道敎)와 불교(佛敎)의 인물화(人物畫)에 뛰어나 사원(寺院)의 벽화(壁畫)를 많리 그렸음. 작품(作品)은 감각적(感覺的)인 미를 나타냈으며, 요철화(凹凸花)는 서양(西洋) 화법(畫法)의 영향(影響)으로 비롯되었음. 고개지(顧愷之)ㆍ육탐미(陸探薇)와 아울러 육조(六朝)의 대표적(代表的) 화가(畫家)임.
因點其一, 須臾雷電破壁, 一龍乘雲上天.(인점기일 수유뢰전파벽 일룡승운상천) 未點睛者, 皆在.(미점정자 개재) - 『역명화기(歷代名畫記)』
이에(因) 그 한 마리에 눈동자를 그리자(點其一), 잠깐 사이에(須臾) 천둥과 번개가(雷電) 벽을 부숴버렸고(破壁), 용 한 마리가(一龍) 구름을 타고(乘雲) 하늘로 올라갔다(上天). 아직(未) 눈동자를 그리지 않은 것은(點睛者), 모두 <그래도> 있었다(皆在).
'고사성어(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故事成語) 형세(形勢) 15] 일모도원(日暮途遠) / 해는 저물고 갈 길이 멀어 도리에 어긋나는 일을 하고 말았다 (0) | 2024.11.14 |
---|---|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14] 새옹지마(塞翁之馬) / 화가 복이 되고 복이 화가 된다 (0) | 2024.11.14 |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12] 문전작라(門前雀羅) / 가난하고 천해지면 사귀는 정과 세태를 알게 된다 (0) | 2024.11.12 |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11] 방약무인(傍若無人) / 전국시대 최고의 자객 형가 (0) | 2024.11.11 |
[고사성어(故事成語) 처세(處世) 10] 여세추이(與世推移) / 세상의 변화에 융통성 있게 적응하는 것 (0)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