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의 어머니가 [유학(遊學) 도중에 돌아온 맹자를 훈계하려고] 베틀의 날실을 끊었다는 뜻이다. 학문과 같이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을 중간에 그만두면 안 하느니만 못하다는 것으로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의 2탄이라고 할 수 있다.
집을 떠나 객지에서 공부하던[遊學] 어린 맹자가 어느 날 느닷없이 집에 돌아왔다. 이때 맹자의 어머니는 베틀에 앉은 채 맹자에게 묻기를 “그래, 글은 얼마나 배웠느냐?”라고 했다. 맹자는 “별로 배우지 못했습니다. 어머님.”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맹자의 어머니는 짜고 있던 베의 날실을 끊어 버리고 이렇게 타일렀다. “네가 공부를 중도에 그만두고 돌아온 것은 지금 내가 짜고 있던 이 베의 날실을 끊어 버린 것과 다를 게 없다.”라고 했다.
유의어: 단기지교(斷機之敎), 단기지계(斷機之戒), 계이불사(鍥而不舍), 금석가루(金石可鏤)
孟子少也, 旣學而歸, 孟母方績. 問曰: “學何所至矣?” 孟子曰: “自若也.” 孟母以刀, 斷其織. 孟子懼而問其故, 孟母曰: “子之廢學, 若吾斷斯織也.” (……) 孟子懼旦夕勤學不息, 師事子思, 遂成天下之名儒. 君子謂 ‘孟母知爲人母之道矣.’ -「열녀전(烈女傳)」
맹자가 어렸을 때(孟子少也), 공부를 끝내고(旣學而) 돌아오자(歸), 맹자의 어머니가(孟母) 막(方) 길쌈을 하고 있었다(績).
묻기를(問曰): “공부는(學) 어디까지(何所) 이르렀느냐(至矣)?”라고 했다.
맹자가 말하길(孟子曰): “크게 달라진 것이 없습니다(평소와 같습니다)(自若也).”라고 했다.
맹자의 어머니가(孟母) 칼로(以刀), 그 베를 잘랐다(斷其織).
맹자가(孟子) 두려워하면(懼而) 그 까닭을 물으니(問其故), 맹자 어머니가 말하길(孟母曰): “네가(子之) 공부를 그만둔 것은(廢學), 내가(吾) 이 베를 끊은 것과(斷斯織也) 같다(若).”라고 했다.(……)
맹자가(孟子) 두려워하며(懼) 아침저녁으로(旦夕) 공부에 힘쓰고(勤學) 쉬지 않았고(不息), 자사를(子思) 스승으로 모시고(師事), 마침내(遂) 천하의 이름난 학자가 되었다(成天下之名儒).
군자가 말하길(君子謂) ‘맹자의 어머니가(孟母) 사람의 어머니 된 도리를(爲人母之道) 알았다(知矣).’라고 했다.
'고사성어(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故事成語) 노력(努力) 35] 우공이산(愚公移山) - 어리석은 늙은이가 산을 옮기려 한다 (0) | 2024.12.09 |
---|---|
[고사성어(故事成語) 노력(努力) 34] 붕정만리(鵬程萬里) - 붕이 날아오르면 1만 리를 간다 (0) | 2024.12.08 |
[고사성어(故事成語) 노력(努力) 32]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 맹자의 어머니가 세 번 이사한 까닭 (0) | 2024.12.04 |
[고사성어(故事成語) 노력(努力) 31] 와신상담(臥薪嘗膽) / 섶나무 가운데 눕고 쓸개를 맛보며 복수를 다짐한다 (0) | 2024.12.03 |
[고사성어(故事成語) 노력(努力) 30] 토포악발(吐哺握髮) / 천하의 현인을 잃지 말아라 (0)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