或問諫議大夫陽城於愈, “可以爲有道之士乎哉? 學廣而聞多, 不求聞於人也, 行古人之道, 居於晉之鄙, 晉之鄙人, 薰其德而善良者幾千人. 大臣聞以薦之天子, 以爲諫議大夫, 人皆以爲華, 陽子不喜, 居於位五年矣, 視其德, 如在草野. 彼豈以富貴移易其心哉?”
누군가(或) 나에게(於愈) 간의대부 양성에 대해(諫議大夫陽城) 묻기를(問), “도가 있는 선비라고 할 수 있겠는가(可以爲有道之士乎哉)? 배움이 넓고(學廣而) 들은 것이 많으며(聞多), 남에게(於人) 명성이 알려지는 것을 구하지 않으며(不求聞也), 옛사람의 도를 행하고(行古人之道), 진나라 시골에 살고 있으니(居於晉之鄙), 산서 시골 사람이(晉之鄙人), 그 덕에 교화되어(薰其德而) 선량한 사람이(善良者) 수천 명이다(幾千人). 대신이 듣고(大臣聞以) 그를 천자에게 천거해서(薦之天子), 간의대부로 삼았으니(以爲諫議大夫), 사람들이 모두(人皆) 영예롭다고 여겼지만(以爲華), 양자가(陽子) 기뻐하지 않고(不喜), 벼슬 자리에 머문 것이(居於位) 오 년이지만(五年矣), 그 덕을 보면(視其德), 초야에 있는 듯하다(如在草野). 저 사람이(彼) 어찌(豈) 부귀로(以富貴) 그 마음을(其心) 옮기고 바꾸겠는가(移易哉)?”라고 했다.
* 爭臣(쟁신): 왕의 잘못을 바른말로 간(諫)하는 신하(臣下).
* 晉之鄙(진지비): 진나라의 시골, 晉(진)은 지금의 산서성을 말한다.
愈應之曰: “是『易』所謂‘恒其德貞, 而夫子凶者也,’ 惡得爲有道之士乎哉? 在『易』蠱之上九云: ‘不事王侯, 高尙其事,’ 蹇之六二則曰, ‘王臣蹇蹇, 匪躬之故,’ 夫不以所居之時不一而所蹈之德不同也. 若蠱之上九, ‘居無用之地, 而致匪躬之節,’ 蹇之六二在‘王臣之位, 而高不事之心’, 則冒進之患生, 曠官之刺興, 志不可則, 而尤不終無也.
한유가(愈) 응하여 말하길(應之曰): “이것은(是) 역에서(『易』) 이른바(所謂) ‘그 덕이 일정한 것은(恒其德) 좋은 것이니(貞, 而) 남자에게는 흉한 것이다(夫子凶者也),’라고 한 것이니, 어찌(惡) 도가 있는 선비가(有道之士) 될 수 있겠는가(得爲乎哉)? 역(『易』) 고괘의(蠱之) 상구에 있어 말하길(在上九云): ‘왕후를 섬기지 않고(不事王侯), 자기 일을 고상하게 여긴다(高尙其事),’라고 했고, 건괘의 육이에 이르길(蹇之六二則曰), ‘왕의 신하는(王臣) 충성을 다하는데(蹇蹇), 자기 몸의 까닭이 아니다(匪躬之故),’라고 했으니, 무릇(夫) 그 머무는 때가 같지 않고(不以所居之時不一而) 실천하는 덕이 같지 않은 것이다(所蹈之德不同也). 만약(若) 고괘의 상구처럼(蠱之上九), ‘무용한 자리에 머물면서(벼슬하지 않으면서)(居無用之地, 而) 충성을 다하는 절개를 다한다(致匪躬之節),’ 라거나, 건괘의 육이처럼(蹇之六二在) ‘신하의 자리에 있으면서(王臣之位, 而) 섬기지 않는 마음을 높인다(高不事之心)’라면(, 則) 함부로 나아가는(冒進之) 걱정이 생기고(患生), 자리를 비워두는(曠官之) 비난이 일어날 것이니(刺興), 뜻을(志) 본받을 수 없고(不可則, 而) 허물이(尤) 없을 수 없다(不終無也).
* 蹇蹇(건건): 괴로워하며 신고(辛苦)하는 모양(模樣), 충성(忠誠)을 다하는 모양(模樣).
* 所居之時(소거지시): 머무는 때, 그가 살고 있는 때.
* 所蹈之德(소도지덕): 그가 실천하는 덕행
* 匪躬之節(비궁지절): 자기(自己)의 몸을 돌보지 않고 임금에게 충성(忠誠)을 다하는 신하(臣下)의 도리(道理).
* 曠官(광관): 관직을 태만히 하다, 고을의 수령(守令) 자리가 오랫동안 빔.
今陽子實一匹夫. 在位不爲不久矣, 聞天下之得失, 不爲不熟矣, 天子待之不爲不加矣, 而未嘗一言及於政. 視政之得失, 若越人視秦人之肥瘠, 忽焉不加喜戚於其心. 問其官則曰‘諫議也’, 問其祿則曰‘下大夫之秩也’, 問其政則曰‘我不知’也, 有道之士, 固如是乎哉.
지금(今) 양자는(陽子) 실로(實) 한 사람의 필부이다(一匹夫). 벼슬에 있은 것이(在位) 오래되지 않은 것이 아니고(不爲不久矣), 천하의 득실을 듣고(聞天下之得失), 익숙하지 않은 것도 아니며(不爲不熟矣), 천자가(天子) 그를 대우하는 것이(待之) 대우가 좋지 않은 것도 아니며(不爲不加矣, 而) 일찍이 말 한마디가(未嘗一言) 정치에 미치지 않았다(及於政). 정치의 잘잘못을 보는 것은(視政之得失), 월나라 사람이(越人) 진나라 사람이 살찌고 여윈 것을(秦人之肥瘠) 보는 듯하고(若視), 무관심하게(忽焉) 그 마음에(於其心) 기쁨이나 슬픔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不加喜戚). 그 관직을 물으면(問其官則) 말하길(曰) ‘간의대부다(諫議也)’라고 하며, 그 녹봉을 물으면 말하길(問其祿則曰) ‘하대부의 녹봉이다(下大夫之秩也)’라고 하며, 그 정치를 물으면 말하길(問其政則曰) ‘나는 알지 못한다(我不知)’라고 한다(也), 도가 있는 선비라면(有道之士), 참으로(固) 이와 같을 수 있겠는가(如是乎哉).
* 得失(득실): 정치를 잘하고 못하는 것, 정치의 잘잘못.
且吾聞之, 有官守者, 不得其職則去, 有言責者, 不得其言則去, 今陽子以爲得其言乎哉. 得其言而不言, 與不得其言而不去, 無一可者也. 陽子將爲祿仕乎. 古之人有云: ‘仕不爲貧而有時乎爲貧,’ 謂祿仕者也. 宜乎辭尊而居卑, 辭富而居貧, 若抱關擊柝者可也. 蓋孔子嘗爲委吏矣, 嘗爲乘田矣, 亦不敢曠其職, 必曰會計當而已矣, 必曰牛羊遂而已矣, 若陽子之秩祿, 不爲卑且貧, 章章明矣而如此, 其可乎哉.”
또(且) 내가 듣기로(吾聞之), 관직을 맡음이 있는 사람이(有官守者), 그 직을 얻을 수 없으면(不得其職則) 떠나고(去), 간언의 책임이 있는 사람이(有言責者), 그 말을 할 수 없으면(不得其言則) 떠나니(去), 지금(今) 양자가(陽子) 그 말을 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인가(以爲得其言乎哉). 그 말할 수 있는데(得其言而) 말하지 않는 것과(不言, 與) 그 말할 수 없는데(不得其言而) 떠나지 않은 것은(不去), 마찬가지로 옳은 것이 없다(無一可者也). 양자가(陽子) 장차(將) 봉록을 위해(爲祿) 벼슬할 것인가(仕乎). 옛사람에게(古之人) 말한 것이 있으니(有云): ‘벼슬은(仕) 가난 때문에 하지 않지만(不爲貧而) 가난 때문에 하는 경우도 있다(有時乎爲貧),’라고 했으니, 봉록을 위해 벼슬하는 것을 말한다(謂祿仕者也). 마땅히(宜乎) 높은 자리를 사양하고(辭尊而) 낮은 자리에 머물며(居卑), 부유함을 사양하고(辭富而) 가난함에 머물러야 하니(居貧), 문지기와 야경꾼 같은 것이(若抱關擊柝者) 옳다(可也). 대체로(蓋) 공자가(孔子) 일찍이(嘗) 위리가 되었고(爲委吏矣), 일찍이(嘗) 승전이 되었는데(爲乘田矣), 또한(亦) 감히 직책을 소홀히 하지 않았고(不敢曠其職), 반드시(必) 회계가 맞아야 한다고 말했고(曰會計當而已矣), 반드시(必) 소와 양이 잘 자라야 한다고 말했으니(曰牛羊遂而已矣), 양자의 직위와 봉록 같은 것이라면(若陽子之秩祿), 낮고 가난하지 않은 것이(不爲卑且貧), 명백하니(章章明矣而) 이와 같다면(如此), 옳다고 할 수 있겠는가(其可乎哉).”라고 했다.
* 官守者(관수자): 관직을 맡고 있는 사람.
* 抱關擊柝(포관격탁): 「문지기와 야경(夜警)」이라는 뜻으로, 신분(身分)이 낮은 관리(官吏)를 이르는 말.
* 章章(장장): 밝고 아름다운 모양(模樣).
或曰: “否. 非若此也. 夫陽子惡訕上者, 惡爲人臣, 招其君之過而以爲名者. 故雖諫且議, 使人不得而知焉. 『書』曰: ‘爾有嘉謀嘉猷, 則入告爾后于內, 爾乃順之于外曰, 斯謀斯猷, 惟我后之德,’ 夫陽子之用心, 亦若此者.”
누군가 말하길(或曰): “아니다(否). 이와 같은 것이 아니다(非若此也). 양자가(夫陽子) 윗사람 헐뜯기를(訕上者) 싫어하고(惡), 신하로서(爲人臣), 그 임금의 허물을(其君之過) 불러내어(招而) 명성 얻는 사람이 되기를(以爲名者) 싫어하는 것이다(惡). 그러므로(故) 비록(雖) 간하고 의논하더라도(諫且議), 남들로 하여금(使人) 알지 못하게 한 것이다(不得而知焉).
서에 이르길(『書』曰): ‘너에게(爾) 좋은 계책과(嘉謀) 좋은 방법이(嘉猷) 있다면(有 , 則) 들어가(入) 너의 임금에(爾后) 안에서(于內) 고하고(告), 너는 곧(爾乃) 밖에서(于外) 그것을 따라 말하길(順之曰), 그 계책과 그 방법은(斯謀斯猷), 오직(惟) 우리 임금의 덕이다(我后之德)라고 한다,’라고 했으니, 양자가 마음 쓰는 것도(夫陽子之用心), 또한(亦) 이와 같은 것이다(若此者).”라고 했다.
愈應之曰: “若陽子之用心, 如此, 滋所謂惑者矣. 入則諫其君, 出不使人知者, 大臣ㆍ宰相者之事, 非陽子之所宜行也. 夫陽子本以布衣, 隱於蓬蒿之下, 主上嘉其行誼, 擢在此位. 官以諫爲名, 誠宜有以奉其職, 使四方後代, 知朝廷有直言骨鯁之臣, 天子有不僭賞從諫如流之美. 庶巖穴之士, 聞而慕之, 束帶結髮, 願進於闕下而伸其辭說, 致吾君於堯ㆍ舜, 熙鴻號於無窮也. 若『書』所謂, 則大臣ㆍ宰相之事, 非陽子之所宜行也. 且陽子之心, 將使君人者, 惡聞其過乎. 是啓之也.”
내가(愈) 그것에 응해서 말한다면(應之曰): “만약(若) 양자가 마음 쓰는 것이(陽子之用心), 이와 같다면(如此), 그것은(滋) 이른바(所謂) 미혹한 것이다(惑者矣). 들어가면(入則) 임금에게 간하고(諫其君), 나와서(出) 남들이 알지 못하게 하는 것은(不使人知者), 대신과 재상의(大臣ㆍ宰相者之) 일이고(事), 양자가(陽子之) 마땅히 행할 것이(所宜行) 아니다(非也). 양자가(夫陽子) 본래(本) 포의(평민)로(以布衣), 초야에 숨어 살았는데(隱於蓬蒿之下), 임금이(主上) 그 행실이 올바른 것을(其行誼) 가상히 여기고(嘉), 발탁하여(擢) 이 자리에 있게 된 것이다(在此位). 관리는(官) 간언으로(以諫) 명분을 삼고(爲名), 진실로(誠) 마땅히(宜) 그 직책을 받드는 일이 있어(有以奉其職), 사방 사람들과 후대로 하여금(使四方後代), 조정에(知朝廷) 직언하는(直言) 강직한 신하가(骨鯁之臣) 있어(有), 천자에게(天子) 상을 잘못 내리지 않는 일이 있고(有不僭賞) 물 흐르듯 간언을 따르는(從諫如流之) 미덕이 있도록 해야 한다(美). 여러(庶) 동굴에 사는 선비도(巖穴之士), 듣고서(聞而) 흠모하고(慕之), 띠를 두르고(束帶) 머리를 묶어(結髮), 임금 앞에 나아가(進於闕下而) 자기 말을 펼치기를(伸其辭說) 원해서(願), 우리 임금이(吾君) 요순에 이르고(致於堯ㆍ舜), 위대한 이름이(鴻號) 무궁한 데서(於無窮) 빛나도록 해야 한다(熙也). 서경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若『書』所謂, 則) 대신과 재상이 일이며(大臣ㆍ宰相之事), 양자가 마땅히 행할 것이 아니다(非陽子之所宜行也). 또(且) 양자의 마음이(陽子之心), 장차(將) 임금으로 하여금(使君人者), 그 과실을(其過) 듣기 싫어하도록 하는 것인가(惡聞乎). 이것은(是) 그것을 계도하는 것이다(啓之也).”라고 했다.
* 蓬蒿(봉호): 쑥대, 여기서는 산골을 가리킨다.
* 骨鯁(골경): 짐승 뼈와 생선 뼈, 뼈처럼 곧고 강직한 것을 말한다.
* 從諫如流(종간여류): 물이 낮은 곳으로 흐르듯이 순순히 간언을 따름을 이르는 말.
* 巖穴之士(암혈지사): 「바위 굴속의 선비」라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깊은 산속에 숨어 사는 선비를 이르는 말.
* 闕下(궐하): ‘대궐(大闕) 아래’라는 뜻으로, 임금의 앞을 이르는 말.
* 鴻號(홍호): 널리 알려진 이름. 또는 임금의 이름.
或曰: “陽子之不求聞而人聞之, 不求用而君用之, 不得已而起, 守其道而不變, 何子過之深也?”
누군가 말하길(或曰): “양자가(陽子之) 명성이 드러나길 바라지 않았지만(不求聞而) 사람들이(人) 명성을 듣게 되었고(聞之), 등용되기를 바라지 않았지만(不求用而) 임금이 그를 등용했으니(君用之), 어쩔 수 없이(不得已而) 일어난 것이고(起), 그 도를 지켜(守其道而) 변하지 않았는데(不變), 어찌(何) 그대가 비난하는 것이(子過之) 심한가(深也)?”라고 했다.
愈曰: “自古聖人賢士, 皆非有心求於聞用也. 閔其時之不平, 人之不乂, 得其道, 不敢獨善其身, 而必兼濟天下也, 孜孜矻矻, 死而後已. 故禹過家門不入, 孔席不暇暖, 而墨突不得黔, 彼二聖一賢者, 豈不知自安逸之爲樂哉. 誠畏天命而悲人窮也. 夫天授人以賢聖才能, 豈使自有餘而已. 誠欲以補其不足者也. 耳目之於身也, 耳司聞而目司見, 聽其是非, 視其險易然後, 身得安焉, 聖賢者時人之耳目也, 時人者賢聖之身也. 且陽子之不賢, 則將役於身, 以奉其上矣; 若果賢, 則固畏天命而閔人窮也, 惡得以自暇逸乎哉.”
내가 말하길(愈曰): “자고로(自古) 성인과 현사는(聖人賢士), 모두(皆) 명성이 드러나고 등용되는 것에(於聞用) 마음을 두지 않았다(非有心求也). 그 시대가(其時之) 평화롭지 않은 것을(不平) 걱정하고(閔), 사람들이(人之) 다스려지지 않는 것을 걱정하여(不乂), 도을 얻어(得其道), 감히 홀로 자기만 깨끗하게 하지 않고(不敢獨善其身, 而) 반드시(必) 천하를(天下) 아울러 구제하려 했으니(兼濟也), 애쓰고 힘써서(孜孜矻矻), 죽은 뒤에나(死而後) 그만두었다(已). 그러므로(故) 우임금이(禹) 자기 집 문을 지나갔지만(過家門) 들어가지 않았고(不入), 공자는(孔) 자리가(席) 따뜻해질 겨를이 없었고(不暇暖, 而) 묵자의 굴뚝은(墨突) 검어질 수 없었으니(不得黔), 저(彼) 두 성인과(二聖) 한 현자가(一賢者), 어찌(豈) 스스로 편안한 것이(自安逸之) 즐거움이 됨을(爲樂) 알지 못했겠는가(不知哉). 진실로(誠) 천명을 두려워하고(畏天命而) 사람의 곤궁함을 슬퍼한 것이다(悲人窮也). 무릇(夫) 하늘이(天) 사람에게(人) 현명하고 성스러운 재능을(以賢聖才能) 준 것이(授), 어찌(豈) 지기로 하여금(使自) 여유롭게 하려 한 것일 뿐인가(有餘而已). 진실로(誠) 그 부족한 것을(其不足者) 보충하려는 것이다(欲以補也). 눈과 귀가(耳目之) 몸에 대하여(於身也), 귀는(耳) 듣는 일을 맡고(司聞而) 눈은 보는 일을 맡아서(目司見), 그 시비를 듣고(聽其是非), 그 험난하고 평이한 것을 보고 나서(視其險易然後), 몸이(身) 편안할 수 있으니(得安焉), 성인과 현자는(聖賢者) 당시 사람들의(時人之) 눈과 귀이고(耳目也), 당시 사람들은(時人者) 성인과 현자의 몸이다(賢聖之身也). 또(且) 양자가(陽子之) 현명하지 않다면(不賢, 則) 장차(將) 몸에 부림을 받아서(役於身, 以) 그 윗사람을 받들 것이고(奉其上矣); 만약(若) 정말 현명하다면(果賢, 則) 진실로(固) 천명을 두려워하고(畏天命而) 사람의 곤궁함을 가엾게 여길 것이니(閔人窮也), 어찌(惡) 스스로 안일할 수 있겠는가(得以自暇逸乎哉).”라고 했다.
* 孜孜矻矻(자자골골): 孜孜는 열심히 애쓰는 모습, 矻矻은 힘써 일하는 모습이다.
或曰: “吾聞君子, 不欲加諸人, 而惡訐以爲直者, 若吾子之論, 直則直矣, 無乃傷于德而費於辭乎. 好盡言以招人過, 國武子之所以見殺於齊也, 吾子其亦聞乎.”
누군가 말하길(或曰): “내가 듣기로(吾聞) 군자는(君子), 남을 공격하려 하지 않고(不欲加諸人, 而) 들추어내는 것을(訐) 곧다고 여기는 것을(以爲直者) 싫어한다고(惡) 했으니, 만약(若) 선생의 논리라면(吾子之論), 곧기는 곧지만(直則直矣), 어찌 덕을 손상시키고(傷于德而) 말을 낭비하는 것이(費於辭) 아니겠는가(無乃乎). 말을 다해서(盡言以) 남의 잘못을 들추어 내기를(招人過) 좋아하는 것은(好), 국무자가(國武子之) 제나라에서 죽임을 당한(見殺於齊) 까닭이니(所以也), 그대도(吾子) 또한 들었을 것이다(其亦聞乎).”라고 했다.
* 見殺(견살): 죽임을 당하다, 見은 피동을 나타낸다.
愈曰: “君子, 居其位則思死其官, 未得位則思修其辭以明其道, 我將以明道也, 非以爲直而加人也. 且國武子, 不能得善人, 而好盡言於亂國, 是以見殺. 傳曰, ‘惟善人, 能受盡言,’ 謂其聞而能改之也. 子告我曰, ‘陽子可以爲有道之士也,’ 今雖不能及已, 陽子將不得爲善人乎.”
내가 말하길(愈曰): “군자는(君子), 그 지위에 있으면서(居其位則) 그 관직을(其官) 죽음으로 수행하려고 생각하고(思死), 지위를 얻지 못하면(未得位則) 그 말을 꾸미고(修其辭以) 그 도를 밝히길(明其道) 생각하니(思), 내가(我) 장차(將) 도를 밝히려는 것이고(以明道也), 곧다고 여기면서(以爲直而) 남을 공격하려는 것이(加人) 아니다(非也). 또(且) 국무자가(國武子), 착한 사람을 만나지 못했으면서(不能得善人, 而) 어지러운 나라에서(於亂國) 말 다하기를 좋아했으니(好盡言), 이 때문에(是以) 죽임을 당했다(見殺).
전하는 글에 이르길(傳曰), ‘오직 착한 사람만이(惟善人), 말을 다하는 것을(盡言) 받아줄 수 있다(能受),’라고 했으니, 그가 듣고서(其聞而) 고칠 수 있음을(能改之) 말한 것이다(謂也). 그대가(子) 나에게 말하길(告我曰), ‘양자가(陽子) 도가 있는 선비라고 할 수 있다(可以爲有道之士也),’라고 했으니, 지금(今) 비록(雖) 미치지 못함이 있더라도(不能及已), 양자가(陽子) 장차(將)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지 않을까(不得爲善人乎).”라고 했다.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34] 진학해(進學解) - 학업에 정진해야 하는 이유 (0) | 2024.12.19 |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33] 한유(韓愈) 송궁문(送窮文) - 곤궁하게 만드는 귀신을 떠나 보내며 (0) | 2024.12.17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31] 한유(韓愈) 남해신묘비(南海神廟碑) - 남해의 신을 기리는 비문을 새기다 (0) | 2024.12.14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30 한유(韓愈)] 평회서비(平淮西碑) / 회서의 반란은 토벌한 공적을 기록하다 (0) | 2024.10.29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29 한유(韓愈)] 송부도문창사서(送浮屠文暢師序) / 문창 선사에게 보내는 편지 (0) | 202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