應侯曰: “鄭人謂玉未理者璞; 周人謂鼠未腊者朴. 周人懷璞, 過鄭賈曰: ‘欲買朴乎?’ 鄭賈曰: ‘欲之.’ 出其朴視之, 乃鼠也. 因謝不取. 今平原君自以賢顯名於天下, 然降其主父沙丘而臣之, 天下之王尙猶尊之. 是天下之王不如鄭賈之智也. 眩於名, 不知其實也.”
응후가 말하길(應侯曰): “정나라 사람들이 말하길(鄭人謂) 옥이(玉) 아직 다스려지지 않은 것을(未理者) 옥돌이라 하고(璞); 주나라 사람들이 말하길(周人謂) 쥐고기가(鼠) 아직 마르지 않은 것을(未腊者) 박이라 합니다(朴). 주나라 사람이(周人) 박을 가지고(懷璞), 정나라 상인에게 말하길(過鄭賈曰): ‘박을 사겠는가(欲買朴乎)?’라고 했습니다. 정나라 상인이 말하길(鄭賈曰): ‘사겠다(欲之).’라고 했습니다. 그 박을 꺼내어(出其朴) 보여주니(視之), 쥐였습니다(乃鼠也). 이에(因) 사양하고 사지 않았습니다(謝不取). 지금(今) 평원군이(平原君) 스스로(自) 천하에서(於天下) 어질고 유명한 사람이라고 여기지만(以賢顯名), 그러나(然) 그 주보를(其主父) 사구에서 항복시키고(降沙丘而) 신하로 삼았는데(臣之), 천하의 왕이(天下之王) 오히려(尙猶) 그를 높여주고 있습니다(尊之). 이것은(是) 천하의 왕이(天下之王) 정나라 상인의 지혜보다(鄭賈之智也) 못한 것입니다(不如). 이름에 현혹되어(眩於名), 그 실질을(其實)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不知也).”라고 했다.
* 降其主父沙丘(항기주보사구): 安平君과 李兌가 平原君의 아버지 主父 武靈王을 죽였을 때 이를 성토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趙나라 惠文王의 신하로 있었던 것을 비판한 내용인 듯하나 자세히 알 수 없다. 沙丘는 趙나라의 行宮이 있던 곳이다.
'전국책(戰國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책(戰國策) 진책 3(秦策 三) 089] 위응후왈(謂應侯曰): 누군가 응후에게 조언하길 (0) | 2025.02.20 |
---|---|
[전국책(戰國策) 진책 3(秦策 三) 088] 천하지사(天下之士): 천하의 선비가 모이는 것은 부귀 때문이다 (0) | 2025.02.20 |
[전국책(戰國策) 진책 3(秦策 三) 086] 유공인자 유공지자(有攻人者 有攻地者): 진나라가 한나를 공격했다 (0) | 2025.02.19 |
[전국책(戰國策) 진책 3(秦策 三) 085] 항사유신총(恒思有神叢): 왕께서 삼분의 일만 가진 것입니다 (0) | 2025.02.19 |
[전국책(戰國策) 진책 3(秦策 三) 084] 신거산동(臣居山東): 범저가 태후와 양후를 비판하다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