義渠君之魏, 公孫衍謂義渠君曰: “道遠, 臣不得復過矣, 請謁事情.” 義渠君曰: “願聞之.” 對曰: “中國無事於秦, 則秦且燒焫獲君之國; 中國爲有事於秦, 則秦且輕使重幣而事君之國也.” 義渠君曰: “謹聞令.”
의거군이(義渠君) 위나라에 갔는데(之魏), 공손연이(公孫衍) 의거군에게 말하길(謂義渠君曰): “길이 멀고(道遠), 제가(臣) 다시 방문하기 어려우니(不得復過矣), 청컨대(請) 사정을 알리기를(謁事情) 청합니다.”라고 했다.
의거군이 말하길(義渠君曰): “원컨대(願) 듣기를 바랍니다(聞之).”라고 했다.
대답하길(對曰): “중국에서(中國) 진나라에 일이 없으면(無事於秦, 則) 진나라가(秦) 바로(且) 임금의 나라를(君之國) 불사르고 빼앗을 것이고(燒焫獲); 중국에서(中國) 진나라에 일이 있게 된다면(爲有事於秦, 則) 진나라는(秦) 또(且) 재빨리(輕) 많은 폐백을 보내주어(使重幣而) 임금의 나라를 섬깁니다(事君之國也).”라고 했다.
의거군이 말하길(義渠君曰): “삼가(謹) 가르침을 듣겠습니다(聞令).”라고 했다.
居無幾何, 五國伐秦. 陳軫謂秦王曰: “義渠君者, 蠻夷之賢君, 王不如賂之, 以撫其心.” 秦王曰: “善.” 因以文繡千匹, 好女百人, 遺義渠君. 義渠君致羣臣而謀曰: “此乃公孫衍之所謂也.” 因起兵襲秦, 大敗秦人於李帛之下.
지난 것이(居) 얼마 되지 않아서(無幾何), 다섯 나라가(五國) 진나라를 쳤다(伐秦).
진진이(陳軫) 진왕에게 말하길(謂秦王曰): “의거군은(義渠君者), 오랑캐 가운데(蠻夷之) 현명한 군주이니(賢君), 왕께서(王) 그에게 뇌물을 주어(賂之, 以) 그 마음을 달래는 것만(撫其心) 못합니다(不如).”라고 했다.
진왕이 말하길(秦王曰): “좋다(善).”라고 했다.
이에(因) 수놓은 비단 1000 필과(以文繡千匹), 예쁜 여자 100명으로(好女百人), 의거군에 보냈다(遺義渠君). 의거군이(義渠君) 여러 신하를 불러(致羣臣而) 상의하길(謀曰): “이것이(此) 바로(乃) 공손연이(公孫衍之) 말한 것이다(所謂也).”라고 했다.
이에(因) 군사를 일으켜(起兵) 진나라를 습격했는데(襲秦), 이백 아래에서(於李帛之下) 진나라를 크게 무찔렀다(大敗秦人).
* 居無幾何(거무기하): 居는 '살다, 세월이 지나다'의 뜻이고 幾何는 '얼마'란 뜻이다.
'전국책(戰國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책(戰國策) 진책2(秦策 二) 64] 증삼살인(曾參殺人) - 감무를 믿어준 진 무왕 (0) | 2024.12.29 |
---|---|
[전국책(戰國策) 진책2(秦策 二) 63] 편작견진무왕(扁鵲見秦武王) - 편작이 진 무왕을 만나다 (0) | 2024.12.29 |
[전국책(戰國策) 진책2(秦策 二) 61(4-3)] 진혜왕사(秦惠王死) - 공손연이 장의를 궁지로 몰다 (0) | 2024.12.29 |
[전국책(戰國策) 진책2(秦策 二) 60(4-2) 일거양득(一擧而兼兩虎) / 한 번 찌를 힘으로 두 마리 호랑이를 잡다 (0) | 2024.09.03 |
[전국책(戰國策) 진책2(秦策 二) 59(4-1) 제조초공진(齊助楚攻秦) / 장의가 초왕을 속이다 (0) | 2024.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