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책(戰國策)

[전국책(戰國策) 진책 4(秦策 四) 097] 초위전어형산(楚魏戰於陘山): 초나라와 위나라의 형산 싸움

by प्रज्ञा 2025. 4. 9.
반응형

楚ㆍ魏戰於陘山, 魏許秦以上洛, 以絶秦於楚. 魏戰勝, 楚敗於南陽. 秦責賂於魏, 魏不與. 營淺謂秦王曰: “王何不謂楚王曰: ‘魏許寡人以地, 今戰勝, 魏王倍寡人也, 王何不與寡人遇. 魏畏秦ㆍ楚之合, 必與秦地矣. 是魏勝楚而亡地於秦也. 是王以魏地德寡人, 秦之楚者多資矣. 魏弱, 若不出地, 則王攻其南, 寡人絶其西, 魏必危.’” 秦王曰: “善.” 以是告楚. 楚王揚言與秦遇. 魏王聞之, 恐, 效上洛於秦.

초나라와 위나라가(楚ㆍ魏) 형산에서 싸웠는데(戰於陘山), 위나라가(魏) 진나라에 상락을 <주기로> 허락하고(許秦以上洛, 以) 진나라가 초나라에 대하여 <지원을> 끊도록 했다(絶秦於楚). 위나라가 이겼고(魏戰勝), 초나라가(楚) 남양에서 졌다(敗於南陽). 진나라가(秦) 위나라에(於魏) 대가를 요구했지만(責賂), 위나라가 주지 않았다(魏不與).

영천이(營淺) 진왕에게 말하길(謂秦王曰): “왕께서(王) 어찌(何) 초왕에게 이렇게 말하지 않습니까(不謂楚王曰): ‘위나라가(魏) 나에게 땅을 주기로 했는데(許寡人以地), 지금(今) 싸움에서 이기고(戰勝), 위왕이(魏王) 나를 배신했으니(倍寡人也), 왕께서(王) 어찌(何) 나에게 만나자고 하지 않습니까(不與寡人遇). 위나라는(魏) 진나라와 초나라가 연합하는 것을 두려워해서(畏秦ㆍ楚之合), 반드시(必) 진나라에 땅을 줄 것입니다(與秦地矣). 이것은(是) 위나라가 초나라를 이겼지만(魏勝楚而) 진나라에 땅을 잃는 것입니다(亡地於秦也). 이것은(是) 왕께서(王) 위나라 땅으로(以魏地) 나에게 은혜를 베푸는 것이고(德寡人), 진나라가(秦之) 초나라에게(楚者) 재물을 많이 줄 것입니다(多資矣). 위나라가 약해면서도(魏弱), 땅을 내주지 않는다면(若不出地, 則) 왕께서(王) 그 남쪽을 공격하고(攻其南), 내가(寡人) 그 서쪽을 끊으면(絶其西), 위나라가 반드시 위태로울 것입니다(魏必危).’라고 하십시오”라고 했다.

진왕이 말하길(秦王曰): “좋습니다(善).”라고 했다.

이것으로(以是) 초왕에게 알렸다(告楚). 초왕이(楚王) 진나라와 만나는 것을(與秦遇) 널리 알렸다(揚言). 위왕이 이것을 듣고(魏王聞之), 두려워(恐), 진나라에(於秦) 상락을 바쳤다(效上洛).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