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책(戰國策) 서주책(西周策) 37(2-9)] 사구포위주최위주군(司寇布爲周最謂周君) / 명검인줄 모르고
司寇布爲周最謂周君曰: “君使人告齊王以周最不肯爲太子也, 臣爲君不取也. 函冶氏爲齊太公買良劍, 公不知善, 歸其劍而責之金. 越人請買之千金, 折而不賣. 將死, 而屬其子曰: ‘必無獨知.’ 今君之使最爲太子, 獨知之契也, 天下未有信之者也. 臣恐齊王之爲君實立果而讓之於最, 以嫁之齊也. 君爲多巧, 最爲多詐. 君何不買信貨哉? 奉養無有愛於最也, 使天下見之.”사구 포가(司寇布) 주최를 위하여(爲周最) 주나라 임금에게 말하길(謂周君曰): “임금께서(君) 사람을 시켜(使人) 주최가 태자 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다고(以周最不肯爲太子) 제나라 왕에게 고했지만(告齊王也), 신은(臣) 임금을 위해(爲君) 취할 수 없습니다(不取也). 함야씨가(函冶氏) 제 태공을 위해(爲齊太公) 좋은 검을 샀는데(買良劍), 공이(公) 좋은 것을 알지 못하고..
2024. 5. 11.
[전국책(戰國策) 서주책(西周策) 36(2-8)] 초청도어이주지간(楚請道於二周之間) / 초나라가 이웃나라를 친다는 구실로 길을 빌리다
楚請道於二周之閒, 以臨韓、魏, 周君患之. 蘇秦謂周君曰: “除道屬之於河, 韓、魏必惡之; 齊、秦恐楚之取九鼎也, 必救韓、魏而攻楚. 楚不能守方城之外, 安能道二周之閒? 若四國弗惡, 君雖不欲與也, 楚必將自取之矣.” 초나라가(楚) 두 주나라 사이로 지나가서(道於二周之閒, 以) 한나라와 위나라를 공격하겠다고(臨韓、魏) 요청하자(請), 주나라 임금이 걱정했다(周君患之). 소진이(蘇秦) 주군에게 말하길(謂周君曰): “길을 손질해서(除道) 하수에 이어지도로 ㄱ하면(屬之於河), 한나라와 위나라가(韓、魏) 반드시 미워할 것이고(必惡之); 제나라와 진나라가(齊、秦) 초나라가 9정을 취할 것이라고(楚之取九鼎) 걱정할 것이며(恐也), 반드시(必) 한나라와 위나라를 구원해서(救韓、魏而) 초나라를 공격할 것입니다(攻楚). 초나라는(楚..
2024. 4. 20.
[전국책(戰國策) 서주책(西周策) 06] 소려위주군(蘇厲謂周君) / 소려가 주군에게 말하다
蘇厲謂周君曰: “敗韓·魏, 殺犀武, 攻趙, 取藺·離石, 祁者, 皆白起. 是攻用兵, 又有天命也. 今攻梁, 梁必破, 破則周危. 君不若止之.” 謂白起曰: “楚有養由基者, 善射, 去柳葉者, 百步而射之, 百發百中. 左右皆曰‘善’. 有一人過曰: ‘善射, 可敎射也矣?’ 養由基曰: ‘人皆善, 子乃曰可敎射, 子何不代我射之也?’ 客曰: ‘我不能敎子支左屈右. 夫射柳葉者, 百發百中, 而不已善息, 少焉氣力倦, 弓撥矢鉤, 一發不中, 前功盡矣’ 今公破韓·魏, 殺犀武, 而北攻趙, 取藺·離石·祁者, 公也. 公之功甚多. 今公又以秦兵出塞, 過兩周, 踐韓而以攻梁, 一攻而不得, 前功盡滅. 公不若稱病不出也.” 소려가(蘇厲) 주군에게 말하길(謂周君曰): “한나라와 위나라를 무찌르고(敗韓·魏), 서무를 죽이고(殺犀武), 조나라를 공격해서(攻趙),..
2024. 4. 19.
[전국책(戰國策) 서주책(西周策) 04] 옹씨지역(雍氏之役) / <한나라의 수도> 옹씨 땅에서 일어난 전투
雍氏之役, 韓徵甲與粟於周. 周君患之, 告蘇代. 蘇代曰: "何患焉? 代能爲君令韓不徵甲與粟於周, 又能爲君得高都." 周君大悅曰: "子茍能, 寡人請以國聽." 蘇代遂往見韓相國公中曰: "公不聞楚計乎? 昭應謂楚王曰: '韓氏罷於兵, 倉廩空, 無以守城, 吾收之以飢, 不過一月必拔之.' 今圍雍氏五月不能拔, 是楚病也. 楚王始不信昭應之計矣. 今公乃徵甲及粟於周, 此告楚病也. 昭應聞此, 必勸楚王益兵守雍氏, 雍氏必拔." 公中曰: "善. 然吾使者已行矣." 代曰: "公何不以高都與周?" 公中怒曰: "吾無徵甲與粟於周, 亦已多矣. 何爲與高都?" 代曰: "與之高都, 則周必折而入於韓, 秦聞之必大怒, 而焚周之節, 不通其使, 是公以弊高都得完周也, 何不與也?" 公中曰: "善." 不徵甲與粟於周而與高都, 楚卒不拔雍氏而去. 옹씨의 전투에서(雍氏之役), 한..
2024. 4. 18.
[전국책(戰國策) 서주책(西周策) 03] 진나라가 저리질을 주나라에 들여보내다 / 진령저리질이차백승입주(秦令樗里疾以車百乘入周)
秦令樗里疾以車百乘入周, 周君迎之以卒, 甚敬. 楚王怒, 讓周, 以其重秦客. 游騰謂楚王曰: "昔智伯欲伐厹由, 遺之大鍾, 載以廣車, 因隨入以兵, 厹由卒亡, 無備故也. 桓公伐蔡也, 號言伐楚, 其實襲蔡. 今秦者, 虎狼之國也, 兼有吞周之意; 使樗里疾以車百乘入周, 周君懼焉, 以蔡·厹由戒之, 故使長兵在前, 強弩在後, 名曰衛疾, 而實囚之也. 周君豈能無愛國哉? 恐一日之亡國, 而憂大王." 楚王乃悅. 진나라가(秦) 저리질로 하여금(令樗里疾) 수레 100대로(以車百乘) 주나라에 들어가도록 하니(入周), 주나라 임금이(周君) 병사들로 맞이하도록 하며(迎之以卒), 매우 공경했다(甚敬). 초왕이 노하여(楚王怒), 주나라가(讓), 진나라의 손님을 너무 중요하게 여겼다고(以其重秦客) 꾸짖었다(周). 유등이(游騰) 초왕에게 말하길(謂楚王..
2024. 4. 15.
[전국책(戰國策) 서주책(西周策) 01] 설공이 한나라와 위나라를 위해 진나라를 공격하다 / 설공이제위한위공초(薛公以齊爲韓魏攻楚)
薛公以齊爲韓·魏攻楚, 又與韓·魏攻秦, 而藉兵乞食於西周. 韓慶爲西周謂薛公曰: “君以齊爲韓·魏攻楚, 九年而取宛·葉以北, 以强韓·魏. 今又攻秦以益之, 韓·魏南無楚憂, 西無秦患, 則地廣而益重, 齊必輕矣. 설공이(薛公) 제나라 (以齊) 한나라와 위나라를 위해(爲韓·魏) 초나라를 공격하고(攻楚), 또(又) 한나라와 위나라와 함께(與韓·魏) 진나라를 공격하면서(攻秦, 而) 서주에(於西周) 군사를 의지하고 먹을 것을 빌려달라고 했다(藉兵乞食). 한경이(韓慶) 서주를 위해(爲西周) 설공에게 말하길(謂薛公曰): “군께서(君) 제나라 군사로(以齊) 한나라와 위나라를 위해(爲韓·魏) 초나라를 공격하고(攻楚), 9년이 되어(九年而) 완과 섭 땅 이북을 차지해서(取宛·葉以北, 以) 한나라와 위나라를 강하게 만들었습니다(强韓·魏)..
2024. 4. 10.